[BOOK] 제주 출신 작가의 초보 귀향 일기 『나도 양 제주에 살암수다』

박찬은 시티라이프 기자(park.chaneun@mk.co.kr) 2025. 7. 6. 20:1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행하듯 살아가는 작가의 제주 생활 연습장
민박집 ‘섬이라니 좋잖아요’로 복원해낸 고향집

목욕탕 언니들이 챙겨주는 여름 쌈밥, 조천수산 앞에서 바라보는 해질녘의 하늘, 이름도 생소한 ‘고즐맹이(꼬치고기)’ 한 손 가득 안고 집으로 돌아오는 시장길. ‘나도 제주에 살고 있어요’라는 뜻의 『나도 양 제주에 살암수다』는 『섬이라니, 좋잖아요』 『섬에서의 하룻밤』 『대한민국 100섬 여행』 등을 펴낸 김민수 여행작가가 3년 차 제주살이 새내기인 자신의 일상을 담은 에세이다.

김민수 여행작가의 『나도 양 제주에 살암수다』
성읍에 살다 4살 때 부모를 따라 상경, 꽤 오랫동안 섬을 여행하며 사진을 찍고 글을 쓴 그는 제주에서 고등학교까지 마치고 서울로 올라온 아내와 함께 제주로 돌아가, 옛 고향집을 ‘섬이라니 좋잖아요’라는 이름의 민박집으로 복원해 고양이들과 운영 중이다. 천천히 ‘도민의 언어’와 ‘섬의 리듬’을 익혀가는 이야기는 관찰자의 시선이 아닌 ‘생활자의 언어’로 쓰여 있어서, 제주 살이를 꿈꾸는 이를 위한 따스한 가이드 역할도 한다.
사진 출처: 김민수 작가 페이스북
오일장에서 아강발(족발)을 사고, 표선 바닷가의 고양이들에게 인사를 건네며, 성산읍 어귀에서 고사리 담는 앞치마를 발견하다 문득 계절을 자각하는 순간들. 책 속엔 속도를 내려놓고 계절과 리듬에 귀 기울이는 자세, 그리고 매일의 소소한 일을 여행처럼 마주하는 감각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게다가 작가가 직접 찍은 컬러 사진들 역시 그곳으로 당장 떠나고 싶게 만드는 마술을 부린다. 잘 알려지지 않은 제주의 노을 스폿(p194), 저렴하고 맛 좋은 식당과 가게 등 사이사이 풍성한 정보들은 바로바로 ‘제주 여행’ 폴더에 저장하게 만든다.

아내의 제주 사투리에 경계 푼 목욕탕의 ‘그녀들’
육지 출신 동생들에게 배운 히피 같은 자유
얼론북 제공
그가 어느 날 제주 성읍으로 내려가 생가를 복원한다고 할 때만 해도 지금처럼 번듯한 민박집을 운영하게 될 줄은 몰랐다. 아무리 고향이라 해도 어릴적 떠나온 곳이 아니던가. 알고 보니 이들 부부에겐 목욕탕 언니들, 목공과 어부, 디자이너와 술집 주인들이라는 ‘시끌벅적한 제주 우렁각시’들의 도움이 있었다.

할아버지 때부터 살던 낡은 집을 헐고, 초가집으로 복원하는 녹록치 않은 과정에는 인테리어를 맡은 찬국과 윤정, 길 건너에 살며 외로움을 달래준 형식과 선자 커플 등 손끝 좋은 육지 출신 친구들의 도움이 있었고, 내성적인 그의 아내가 다시 활기를 찾은 것 역시 매일 표선목욕탕을 찾아 평생을 제주에서 산 ‘언니’들과 종일 수다를 떨면서부터다.

제주 바다를 바라보는 부부의 모습(사진 출처: 김민수 작가 페이스북)
그녀들은 부부가 제주 출신임을 알자마자, 외지인에 대한 경계심을 푼 채 약초, 말고기, 광어 등을 손에 들려 보냈고, 보말 씨앗을 바다에 뿌린다는 영등할망에 대한 얘기, 만 원에 너댓 마리는 건질 수 있는 파품 갈치 판매처 등 제주의 생활, 역사, 문화, 풍습까지 살뜰히 들려주었다.

책을 읽는 동안 그가 새로 사귄 제주 사람들과 재미지게 노는 풍경에 살짝 질투심이 끓어올랐음을 고백한다. 그가 제주에 점점 발을 붙일수록, 캠핑 선배인 그와 자주 캠핑 갈 기회가 앞으로 적어질 것이 뻔했기 때문이다.

거친 자연, 무뚝뚝한 말투 속에 지닌 속살
베지근한 제주의 맛에 발을 들이다
사진 출처: 김민수 작가 페이스북
제주가 겉으로 보기엔 아름다운 섬이지만, 강한 바람과 거친 물질로 생존해온 거친 섬이듯, 책을 읽다 보면 안온해 보이던 그의 제주 살이가 실은 많은 시행착오와 착한 이들의 귀한 도움 덕에 일궈낸 것이구나 하는 마음이 들었다. 다 읽고 나면 육지와 제주를 두루 경험한 그의 지인들을 만나 봄이 오면 고사리를 뜯고 여름엔 반 해녀가 되어 지내보고 싶어졌다. 『나도 양 제주에 살암수다』는 그런 책이다.

작가는 중고 물건을 사러 애월에 다녀오고, 바다가 보이는 세화오일장에 앉아 자리돔을 맛보다가 마당에 떨어진 동백에서 기름을 짠다. 제주에선 집 밖만 나가도 바다라서 그런걸까. 여행이 고프면 세화오일장과 비양도, 용눈이오름과 차귀도로 배낭을 싸서 훌쩍 떠난다.

사진 출처: 김민수 작가 페이스북
곁을 잘 주지 않는 섬 사람들과 가까워지고 제주의 속살을 제대로 맛보면서 작가의 인생은 좀더 베지근(제주어로 ‘기름져서 속이 든든할 것 같은 맛’)해졌다. 책장을 덮고 나니 나 역시 그를 따라 ‘베지근한’ 서귀포 고기국수를 먹고 싶어졌다.

[글 박찬은 기자 사진 얼론북]

Copyright © 시티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