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속으로]소각장 추진에 ‘트랙터 시위’…市-삼거동 갈등 고조

임지섭 기자 2025. 7. 6. 20: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주시 자원회수시설 건립 부지 앞
주민, 교통·환경 우려 ‘결사 반대’
3차 공모 ‘위장 전입’ 의혹 제기도
설명회 결국 무산…갈등 봉합 실패
市 "필수 시설…7~8월 설명회 추진"
6일 오전 광주 광산구 삼거동. 도로 한켠에 빨간 트랙터 10여 대가 줄지어 서있다. 차량마다 '의혹투성이 소각장 결사 반대', '주민 동의 없는 소각장 반대' 등이 적힌 현수막과 깃발이 걸려 있었다. /임지섭 기자 ljs@namdonews.com

"하늘이 두 쪽 나도 소각장 건립은 안 됩니다."

6일 오전 광주 광산구 삼거동 한 도로변. 빨간색 트랙터 10여 대가 줄지어 서 있고, 차량마다 '주민 동의 없는 소각장 반대', '의혹투성이 소각장 결사반대' 등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도로 안쪽으로 들어서면, 낡은 컨테이너와 깃발 등 소각장 반대 단체의 구조물이 자리를 잡고 있다.

이곳은 광주시가 추진 중인 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 건립 예정 부지 앞이다. 광주시는 2030년 시행 예정인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하루 650t 규모의 폐기물을 처리할 소각장 건립을 추진 중이다. 1·2차 공모가 무산된 후 지난해 12월 3차 공모를 통해 삼거동이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다.
 
/임지섭 기자 ljs@namdonews.com

하지만 해당 부지 인근 주민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유해 물질 배출로 인한 농작물 피해와 광주 전역에서 몰려드는 쓰레기 수거 차량으로 인해 극심한 교통 혼잡과 소음 피해가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삼거동 주민 A씨는 "소각장 건립은 절대 안 된다는 주민들의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트랙터를 동원했다"며 "안 그래도 인근 산단 차량에 쓰레기차 등이 뒤섞이면 교통 불편에 소음까지 이중고를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위장 전입'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갈등은 더욱 격화되고 있다. 공모 조건상 소각장 반경 300m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등록상 세대주의 과반 동의를 받아야 신청 자격이 주어지는데, 이를 채우기 위해 일부 세대가 실제로 거주하지 않으면서 주소지만 옮긴 '위장 전입' 사례가 30세대가량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다.

주민 B씨(70대·여)는 "찬성한 사람도 있겠지만, 절대 다수가 반대한 사업인데 공모됐을리가 없다"며 "전입자들은 동·호수도 모르면서 주민이라고 말한다. 위장 전입이 밝혀지면 사업은 무효"라고 했다.
 
광산구 삼거동 동네 입구. /임지섭 기자 ljs@namdonews.com

이같은 분위기 속 지난달 26일 예정됐던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 주민설명회도 무산됐다. 삼도동 행정복지센터에 모인 삼도동 주민 70여 명과 인근 함평군민 60여 명이 설명회장을 점거하면서 광주시는 결국 설명회를 철회했다.

광주시는 위장 전입 의혹에 대해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공모 방식에 따라 입지를 선정했고, 당시 사실조사에서도 위장 전입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다"며 "당시 해당 지역 통장들도 이상이 없다는 확인서를 제출한 것으로 파악됐다. 관련 고발 사건은 현재 경찰 수사 중"이라고 설명했다.

광주시는 자원회수시설 건립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2030년부터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전면 금지됨에 따라 안정적인 폐기물 처리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이에 광주시는 무산된 설명회를 다시 개최하겠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반드시 지어져야 하는 시설이다. 설명회는 법적 강제 절차는 아니지만, 주민 의견 수렴이 중요하다고 보고 7~8월 중 재개를 검토 중"이라며 "관계기관과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지섭 기자 ljs@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