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방역 버팀목' 경찰 대응 이끈 이 사람… 인터폴도 극찬
[편집자주] 형사, 수사, 경비, 정보, 교통, 경무, 홍보, 여청 분야를 누비던 왕년의 베테랑. 그들이 '우리동네 경찰서장'으로 돌아왔습니다. 행복 가득한 일상을 보내도록 우리 동네를 지켜주는 그들. 서울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연일 구슬땀을 흘리는 경찰서장들을 만나봅니다.
코로나19(COVID-19) 대유행 시기 K-방역의 전 과정에 경찰력이 닿지 않는 곳이 없었다. 경찰은 수사·정보·생활안전 수많은 기능을 위기관리에 투입했다. 감염에 치명적인 공항 검역소부터 보건소, 다중이용시설까지 사회 곳곳에 경찰이 있었다.
24시간 대응이 가능하고 전국에 뻗어있는 경찰 조직은 실질적인 현장 총괄자였다. 자가격리자 소재 파악, 위반자 조치, 우한 교민 수송 작전까지 모두 경찰이 참여했다. 아무도 선뜻 교민 수용에 나서지 않을 때 경찰은 충남 아산 경찰인재개발원을 임시시설로 사용했다. 이후 격리시설이 된 대학 기숙사나 진천 공무원연수원에서 경비 역할도 도맡았다.
2020년 1월 중국 우한발 첫 확진자가 입국하면서 경찰청 위기관리센터는 국가 감염병 대응 체계의 한 축이 됐다. 당시 위기관리센터장은 총리 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배석하며 질병관리본부와 여러 부처 요청사항을 조정했다. 위기관리센터장은 이듬해 인사로 전보될 때까지 1년간 매일 회의를 참여했다.
위기관리센터장은 코로나19로 위기에 처한 각국 기관에 한국 경찰의 경험을 모범 사례로 발표하기도 했다. 당시 웹 세미나에 UNDP 뉴욕본부와 67개국 상설사무소 정책관, 각국 법집행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귀를 기울였다.인터폴은 "세계 각국 경찰 기관이 참고할 만한 좋은 사례"로 평가했다.
초대 테러대응과장을 맡았을 때에는 조직, 예산, 장비 등 대테러 업무의 기본 골격을 설계했다. 경찰 '대테러 업무 발전 3개년 계획'이었다. 경찰은 2016년 테러방지법 시행 이후 대테러 주무 부처가 됐다.
장갑차, 저격총, 폭발물 탐지견, 침투용 차량 등 실질적 대응 장비 확보에는 예산이 필요했다. 1년 5억원 수준이던 경찰 대테러 예산은 200억원가량으로 커졌다. 그가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기획재정부를 설득한 결과였다.
전국 7개뿐이던 경찰특공대를 13개까지 확장하고 서울특공대장 직급을 총경으로 격상했다. 또 방사능·화학·생물 테러를 대비해 지방청 내 화생방 전담 연구직을 신설했다. 테러 발생 시 경찰의 초동 조치 및 지휘 체계를 담은 규정을 보다 명확히 하기도 했다. 김 서장은 직원들과 화학, 방사능, 폭발물 종류별로 테러가 발생했을 때를 상상하며 대응 프로세스를 정리했다고 한다.
그는 "경찰은 바다·공중·군사시설·해외를 제외한 모든 국내 일반 테러를 전담하는 기관"이라며 "처음 생긴 과에 발령받아선 '갑자기 테러가 나면 어떻게 해야 하지'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2년간 테러대응과장을 맡으며 경찰 대테러 체계의 기본적인 토대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전국 자치구 중 인구가 가장 많은 송파구의 서장으로 지난해 8월 부임한 그는 '공정, 배려, 화합'을 조직 운영의 핵심 키워드로 삼는다. 서울 31개 경찰서 가운데 경찰관 1명당 인구수가 가장 많은 송파서는 하루 평균 112신고만 391건에 이른다. 다양한 치안 수요가 공존하는 만큼 김 서장은 내부 단합과 외부 협업을 강조하고 있다.
김 서장은 "복잡다기한 치안 수요에 대응하려면 경찰 혼자만의 힘으로는 부족하다"며 "자치단체와 각종 협력단체의 손을 맞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송파서는 '안전한 송파 소식'이라는 콘텐츠를 주기적으로 제작·배포하며, 보이스피싱 예방에 기여한 금융기관 종사자에게는 표창과 포상금을 수여하는 등 지역사회와의 접점을 넓히고 있다.
특히 김 서장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세심한 대응을 강조한다. 지역 교육청, 약사회 등과 업무협약(MOU)을 지역 밀착형 범죄 예방 활동을 강화하고 '청소년 온라인 범죄 예방 공모전'을 개최하기도 했다. 그는 "모든 사람의 법적 대응 실력이 다 같을 수가 없고 때로 자기 자신을 대변하기도 힘들 수 있다"며 "경찰이 그들 편에서 공감하고 배려해야만 실질적으로 공정할 수 있다"고 했다.
김미루 기자 miroo@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문원, ♥신지 측에 '협의이혼서' 공개…사생활 루머 적극 해명 - 머니투데이
- '부부의 세계'로 뜨자 '학폭 누명'…심은우 "5년간 쉬어" 눈물 - 머니투데이
- 박진영, 핫핑크 비닐바지+홀터넥 '파격 패션'…워터밤 찢었다 - 머니투데이
- 초1 '강박' 금쪽이 母 수상한 행동…몰래 남편 단속하다 딱 걸렸다 - 머니투데이
- "종교 빠져, 병 아니냐" 친정부모 욕한 남편…결혼 2년 차에 이혼 결심 - 머니투데이
- "공 주우러 갔다 급류 휩쓸려"…캠핑장 앞 하천서 7세 어린이 숨져 - 머니투데이
- "집 포기" 3040 매수 문의 뚝 끊겼다…강남·성남은 이미 '거래절벽' - 머니투데이
- "갤S25 공짜" 보조금 전쟁에 '엣지' 효과…하반기엔 '자체칩' 승부수 - 머니투데이
- 정은경 복지장관 후보자 "주식 논란 잘못된 내용 많아…의료계와 협력 복원 시급" - 머니투데이
- 동네에 많던 편의점, 돌연 '폐점·폐점'…두 달간 313곳 줄었다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