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배터리 스타트업, 노스볼트 ESS 사업 인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이차전지 스타트업 라이덴이 노스볼트의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사업을 인수한다.
라이텐은 "노스볼트 Dwa ESS의 폴란드 그단스크 공장을 인수한다"며 "생산 라인 가동을 즉시 재개, 고객사 주문을 처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라이텐은 2015년 설립된 기업으로, 유럽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급성장하는 ESS용 배터리 수요 대응을 위해 노스볼트 Dwa ESS를 인수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이차전지 스타트업 라이덴이 노스볼트의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사업을 인수한다.
라이텐은 “노스볼트 Dwa ESS의 폴란드 그단스크 공장을 인수한다”며 “생산 라인 가동을 즉시 재개, 고객사 주문을 처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스웨덴 배터리 제조사 노스볼트는 경영난으로 파산을 신청했다. 이후 ESS 배터리 사업 매각이 추진돼 계약이 성사된 것으로 보인다.
양사는 구체적인 인수 계약 규모를 공개하지 않았으나, 3분기에 절차가 마무리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라이텐은 2015년 설립된 기업으로, 유럽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급성장하는 ESS용 배터리 수요 대응을 위해 노스볼트 Dwa ESS를 인수했다고 설명했다.
노스볼트 Dwa ESS의 폴란드 공장은 2023년에 가동을 시작, 6기가와트시(GWh)의 연간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10GWh까지 확장이 가능하고, 2026년까지 계약된 수주 물량이 남아있는 상태였다.
라이텐은 폴란드 공장을 재가동하고, 리튬황 배터리로 ESS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계획이다. 리튬황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무게가 가겹고 가격 경쟁력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호길 기자 eagles@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대통령 “AI·반도체 투자 아끼지 않겠다”
- 美, 베트남과 관세 20% 합의…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주말 방미 협상
- 삼성SDS,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적용…친환경 데이터센터 속도
- 현대차,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6 N 티저 영상 공개
- PPP 클라우드 확산에 전담 MSP 도입 검토
- “슈퍼리치에 '상속세 50%' 부과”… 스위스, 국민투표로 결정한다
- 곳간 채운 앱솔릭스, 반도체 유리기판 생산 늘린다
- [단독]현대차, 新 아반떼·투싼에 '플레오스 커넥트' 첫 탑재
- 故 이건희 회장 기부 감염병 극복 연구사업 본격화…“국가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
- “고객 알면 백전불태”…오픈마켓, '데이터 분석 툴' 탑재 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