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마 상흔 여전한데… “이젠 장마철에 토사 덮칠까 불안해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마철은 닥쳤는데 지난 산불로 뒷산이 민둥산이 됐어요."
지난 20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 마을.
노물항 일대는 지난 3월 경북 일대를 휩쓴 초대형 산불로 "마을이 통째로 사라졌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피해가 처참했던 곳이다.
김재현(64) 노물리 이장은 "우리 마을은 비만 오면 토사가 흘러내리는 곳인데 산불 이후 상태가 더 심해져서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을 뒷산 민둥산으로… 나무 뼈대만
산사태 방지 위해 옹벽 설치 불구
주민들 “사각지대 많아 무용지물
갑자기 폭우 땐 역부족” 하소연
경북도 “산사태 예방 응급 복구 진행”
피해권역 워낙 넓어… 위험 여전
김재현(64) 노물리 이장은 “우리 마을은 비만 오면 토사가 흘러내리는 곳인데 산불 이후 상태가 더 심해져서 걱정”이라고 말했다. 김 이장은 “며칠 전에 비가 많이 내렸는데 빗물이 골을 만들어 흙과 돌이 아래로 흘러내렸다”며 “본격적인 장마철을 맞아 또다시 피해를 입을지 걱정이 많다”고 토로했다.
김 이장과 함께 둘러본 노물리는 입구에서부터 마을회관까지 마을 곳곳에 화마의 상흔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노물리는 산림으로 둘러싸인 골짜기 형태의 마을인 동시에 민가 바로 뒤에 야산이 위치한 만큼 산사태 우려가 특히 커 보였다. 줄지어 자리한 민가 양옆을 따라 능선이 있었고, 능선 위 나무는 산불로 검게 변했거나 뼈대만 앙상하게 남아 있었다. 그 아래로는 산불 이재민들이 거주하는 임시주택들이 보였다. 불에 타버린 주택이 철거된 터에는 녹색 잡초가 무성하게 자리하고 있었다.
경북 산불로 함께 피해를 본 안동시와 의성군, 영양군, 청송군 주민들도 산사태 걱정을 나타내긴 마찬가지다. 도는 이 때문에 12시간 예보제 시스템을 가동, 누적강우량 200㎜와 일 강우량 50㎜ 이상일 때 즉시 산불 피해지역 주민을 대피시킬 계획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피해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해당 시군과 민가 위주로 옹벽 건설 및 방수포 설치 등 응급조치를 계속 진행 중”이라며 “시간이 많이 소요될 예정이지만 산사태 방지 사방댐 설치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산사태 걱정 이외 노물리 주민들이 예전의 평범한 일상을 점차 찾아가고 있다는 점이다. 마을 입구에서 만난 한 주민은 “정부가 마련해 준 임시주택에 입주해 그마나 다행”이라며 “전소된 주택복구지원금도 지급받았다”고 말했다.
영덕군은 산불 이재민들의 조속한 일상 회복 및 안정적인 임시주택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7월1일부터 ‘이재민 안정지원 TF팀’을 신설·운영할 방침이다.
영덕=이영균 기자 lyg0203@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애들, 남편 있어도 행복하지 않았다” 장윤정, 가족도 이해 못 하는 아픔 고백
- 상간녀 3명과 불륜설 겪은 탁재훈 “바람 때문이었으면 이혼 안 했다”…진실은?
- “이규혁한테 속았다, 결혼 후회” 손담비, 눈물 쏟으며 밝힌 남편 ‘만행’
- “내 사전에 이혼은 없을 줄 알았다” 조윤희가 직접 밝힌 이동건과의 이혼 사유
- 남편 도경완 불치병 진단 3달 만에 장윤정도 시술…이게 다 무슨 일?
- 조성모 “실종됐던 자폐증 큰형, 뺑소니로 사망”…가슴 아픈 가정사 고백
- 5년 전 그날의 진실…혜은이 한마디에 박원숙 무너졌다
- 정동원은 임영웅을 ‘형’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특별한 애칭 공개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