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론보도] [삶] "생후 8일 아기 엄마로부터 강제분리 등 관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본 언론사는 "나는 부모다 협회" 김수빈 회장을 인터뷰하고, 2025년 2월 10일, 2월 17일, 2월 27일, 3월 11일, 3월 23일, 5월 5일에 "생후 8일 갓난아기, 엄마로부터 강제분리...아기납치 아닌가요" 등의 제목의 기사를 연속으로 보도하면서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정당한 사유 없이 아동을 강제 분리하고 있으며 분리되는 아동이 많고 분리 기간이 오래될수록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수입이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보도하였습니다.
또한 협회는 "아동보호전문기관은 국가 기준에 따라 예산이 편성되고 집행되며, 분리되는 아동의 수나 분리 기간의 장단에 따라 아동보호전문기관이 경제적 이익을 얻는 구조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수입을 위해서 정당한 이유없이 아동을 강제 분리하는 경우는 없다"고 알려왔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본 언론사는 "나는 부모다 협회" 김수빈 회장을 인터뷰하고, 2025년 2월 10일, 2월 17일, 2월 27일, 3월 11일, 3월 23일, 5월 5일에 "생후 8일 갓난아기, 엄마로부터 강제분리...아기납치 아닌가요" 등의 제목의 기사를 연속으로 보도하면서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정당한 사유 없이 아동을 강제 분리하고 있으며 분리되는 아동이 많고 분리 기간이 오래될수록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수입이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보도하였습니다. 또한, 아동보호전문기관은 학력 및 경력과 무관하게 직원을 채용하고 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아동보호전문기관협회는 "피해아동의 분리는 아동복지법 및 아동학대처벌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장, 아동학대전담공무원, 사법경찰관리, 가정법원 등이 아동학대의 위험성, 피해상태, 보호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법에 정해진 절차에 따라 진행하는데, 단순한 부부싸움이나 청소 상태 불량 등의 사정만으로 아동을 부모로부터 분리하지는 않으며, 현재 아동보호전문기관은 아동 분리를 결정할 권한이 없다"고 알려왔습니다.
또한 협회는 "아동보호전문기관은 국가 기준에 따라 예산이 편성되고 집행되며, 분리되는 아동의 수나 분리 기간의 장단에 따라 아동보호전문기관이 경제적 이익을 얻는 구조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수입을 위해서 정당한 이유없이 아동을 강제 분리하는 경우는 없다"고 알려왔습니다.
아울러 협회는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상담원의 자격 등은 아동복지법 시행령 등에서 상세하고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다"고 알려왔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시영, 전 남편 냉동배아로 둘째 임신…"상대는 동의 안해" | 연합뉴스
- '추락사고 오명'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 사망 | 연합뉴스
- 통영 고등어잡이 선박 어창에서 선원 4명 질식했다 의식 회복(종합2보) | 연합뉴스
- 영덕 앞바다서 대형 참다랑어 무더기로 잡혀…"기후변화 영향"(종합) | 연합뉴스
- 숙명여대, 시교육청에 김건희 여사 교원자격 취소 신청(종합) | 연합뉴스
- "택시 탔다가 흔들려 다쳤다"…울산서 승객 위장 보험사기 속출 | 연합뉴스
- 실패 딛고 성공한 개그맨·작가 고명환 "비밀은 네모난 책 속에" | 연합뉴스
- 이진숙 '충남대 제자들' "논문 가로채기 의혹은 억측" | 연합뉴스
- 中서 화제 '꽃뱀 게임', 성차별 논란…"여성혐오 부추겨" | 연합뉴스
- 中유치원, 급식 반죽에 물감 풀어…'납중독' 피해 아동 200여명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