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와 원숭이의 밤 [노순택의 풍경동물]

한겨레21 2025. 6. 23. 15: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36이라는 숫자는 내게 각별하다.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에게 36은 나의 36과 다르겠지만, 그의 책 '밤의 거미원숭이'에는 36편의 초단편소설이 실려 있다.

자정이 넘은 밤, 글을 쓰는데 창문을 열고 거미원숭이가 들어온다.

하물며 사람에게 가장 사랑받는 원숭이는 사람 흉내를 잘 내는 원숭이가 아니던가.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순택의 풍경동물]

놀라운 모습이었지. 개와 사람이 악수하는 건 많이 봤어. 나도 자주 하니까. 원숭이와 악수하는 모습도 본 적 있지. 그런데 사람과 꼬리로 악수하는 원숭이는 처음이었어. 네가 내민 ‘다섯 번째 손’은 촉촉하더라. 털 대신 사람 손처럼 주름이 있더라. 온기가 느껴졌지. 2012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동물원.

36이라는 숫자는 내게 각별하다. 한때 늘 머리 안에 맴도는 숫자였다.

35㎜ 필름카메라에 익숙한 이라면 금방 눈치챌 수 있을 것이다. 필름 한 통에 담을 수 있는 사진이 36장이니까. 짧지 않은 시간 35㎜ 필름카메라를 분신처럼 들고 다녔던 내게 36은 가능성의 수이자 한계의 수였다. 여분의 필름이 없을 때면 36에 닿을 때까지 한장 한장 아껴가며 셔터를 눌러야 했다. 긴박한 상황을 예감할 때 필름 카운터가 30을 넘었다면 미리 새 필름으로 갈아 넣어야만 했다. 찍은 필름을 되감고, 새 필름으로 갈아 넣는 시간은 ‘그럴 때만’ 속 터지게 길어지기 마련이니까. 36이라는 숫자는 어느 사이에 강박이 되고, 애증이 되었다. 그래서였을까. 책을 만들거나 전시를 할 때면 나도 모르게 36에 집착하곤 했다. 하나의 문제를 36장의 사진으로 풀어내고만 싶어진다. 35장은 뭔가 부족하고 37장은 어딘가 넘친다고 느끼다니, 습관이란 얼마나 무섭게 익숙한가.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에게 36은 나의 36과 다르겠지만, 그의 책 ‘밤의 거미원숭이’에는 36편의 초단편소설이 실려 있다. 마치 사진 한 장처럼 짧은 소설이 한 통의 필름에 담기듯 36편으로 이어진다. 동물 몇 마리가 등장한다. 본론으로 넘어가기도 전에 쥐가 나온다. 초단편소설책답게 겨우 한 문장으로 쓴 서문이다. “우리는 우리대로 즐기고, 들쥐는 들쥐 나름대로 재미있게 살면 되지 않을까요.”

‘속담’이란 제목의 글은 원숭이가 나무에서 떨어지는 광경을 본 목격담이다. 곧바로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질 때가 있다”는 속담을 떠올린다. “속담이란 어디까지나 비유”인데, 그것이 ‘직유’였다니 얼마나 놀라운가. 그러고는 너스레를 떤다. “옛날 사람들은 참 대단해. 그걸 다 알고 있었다는 얘기가 아니겠어?”

책 제목으로 쓰인 ‘밤의 거미원숭이’에는 따라쟁이 원숭이가 등장한다. 자정이 넘은 밤, 글을 쓰는데 창문을 열고 거미원숭이가 들어온다. 누구냐고 묻지만, 원숭이는 대답 대신 누구냐고 따라 묻는다. 지루한 질문과 ‘따라 질문’이 이어진다. 주인공이 포기하며 그만두자, 원숭이도 ‘따라 포기’하며 그만둔다.

주인공은 따라쟁이 원숭이라는 거미줄에 걸린 걸까. 그래서 무라카미는 ‘개코원숭이’가 아닌 ‘거미원숭이’를 등장시킨 걸까. 거미원숭이는 무라카미가 지어낸 이름이 아니다. 개코원숭이가 있듯, 거미원숭이도 있다. 개코원숭이의 코가 개 코를 닮았듯, 거미원숭이의 팔다리는 거미를 닮았다. ‘다섯 번째 팔’이라 불리는 긴 꼬리를 이용해 나무에 매달린다. 꼬리끝 안쪽엔 지문 같은 주름이 있어 나무를 휘감아 붙잡기 좋다. 남미에 사는 멸종위기종이다.

많은 동물이 사람을 기준 삼아 능력을 평가받곤 하지만, 원숭이만 할까. 원숭이는 거의 모든 능력을 사람과 비교당한다. 하물며 사람에게 가장 사랑받는 원숭이는 사람 흉내를 잘 내는 원숭이가 아니던가. 밤의 창문을 열고 들어온다면 곤란하겠지만.

사진·글 노순택 사진사

*노순택의 풍경동물: 어릴 적부터 동물 보는 걸 좋아했습니다. 동물을 키우려고 부모님 속을 썩인 적도 많았지요. 책임의 무게를 알고부터 키우는 건 멀리했습니다. 대신 동물책을 많이 읽었지요. 시골로 내려와 살기 시작하면서 개와 닭과 제가 한 마당에서 놉니다. 작업을 위해서, 또는 다른 일로 국내외 여러 곳을 오갈 때면 자주 동물원에 들릅니다. 편안한 마음과 불편한 마음이, 마치 거울을 보는 것처럼 스며들거든요. (격주로 연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2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