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란히, 나란히, 나란히”···일관된 스윙을 위한 양팔 움직임[생생 골프레슨]

김세영 기자 2025. 6. 22. 00: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통상적으로 골프스윙에서 양쪽 팔은 역할을 분담한다.

백스윙 때 오른팔의 움직임이나 상태에 대해서는 아마추어는 물론이고 프로 선수들도 혼란스러워 하는 사람들이 많다.

오른팔은 백스윙 궤도와 톱 자세를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장 중요하고도 헷갈리는 게 백스윙 시 오른팔의 각도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기환의 Teacher's Tip]
왼팔이 방향과 안정성, 오른팔은 파워
조화롭게 움직이려면 클럽 2개로 연습
손이 허리 높이 왔을 때 클럽 평행 확인
오른팔 너무 굽히면 팔꿈치 뒤로 빠져
오른팔 너무 펴면 역피봇과 아웃-인 궤도
클럽 2개가 평행인 상태로 올라가야 양손이 조화롭게 움직인다.
[서울경제]

통상적으로 골프스윙에서 양쪽 팔은 역할을 분담한다. 왼팔이 방향성과 안정성, 오른팔은 주로 파워를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팔이 조화롭게 작동해야 일관되고 좋은 스윙을 만들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백스윙 때 오른팔을 굽힐까, 펼까

왼팔에 대한 이해는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다. 백스윙 때 가능한 한 구부러지지 않게 하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왼팔이 너무 많이 굽혀지면 스윙 아크가 작아져서 거리 손해를 볼 수 있어서다. 백스윙 때 오른팔의 움직임이나 상태에 대해서는 아마추어는 물론이고 프로 선수들도 혼란스러워 하는 사람들이 많다. 오른팔은 백스윙 궤도와 톱 자세를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장 중요하고도 헷갈리는 게 백스윙 시 오른팔의 각도다. 90도 정도로 굽히라고 하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고, 팔꿈치가 몸통에 닿을 만큼 너무 억지로 굽히면 안 된다는 이야기도 들어봤을 것이다. 어떻게 하면 오른팔을 적절히 움직여 좋은 백스윙과 톱 자세를 만들 수 있을까.

오른팔을 너무 많이 꺾으면 팔꿈치가 몸 뒤로 빠지기 쉽다.
오른팔을 과도하게 펴주려고 하면 역 피봇 동작이 나올 수 있다.

두 개의 클럽 샤프트가 평행하게

오른팔의 움직임과 상태에 대해 모호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굽혀야 할지, 펴야 할지, 들어 올려야 할지, 몸 뒤쪽으로 빼야 할지 모르겠다고 고민하는 골퍼들이 많다. 기준을 만들어줄 연습법이 있다.

아이언 클럽 2개를 준비하고 양 손에 하나씩 손잡이가 아래로 가게 해서 든다. 어드레스 자세를 취하는데, 클럽 2개의 샤프트가 주먹 하나(약 10cm) 간격으로 나란하게끔 해준다. 이 상태에서 백스윙을 해본다. 손이 허리높이 정도에 왔을 때 샤프트의 상태를 확인한다. 목표는 2개의 샤프트가 그대로 평행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오른팔이 적당히 굽혀

지면서 이상적인 백스윙 톱을 만들 수 있는 토대가 이뤄진다.

오른팔을 너무 일찍 또는 많이 꺾어주면 오른손으로 쥔 클럽 샤프트의 손잡이 끝부분이 하늘을 향하면서 두 샤프트가 엇갈리게 된다. 여기서 백스윙 톱까지 진행을 하면 오른쪽 팔꿈치가 몸 뒤쪽으로 빠지게 되고, 이는 엎어 치는 다운스윙으로 연결된다. 또 반대로 오른팔을 너무 펴주려고 하면 오른손에 쥔 클럽이 몸에서 멀어지고, 계속 백스윙을 진행하면 척추가 타깃 쪽으로 뒤집어지는 역 피봇 동작과 아웃-인 궤도 다운스윙이 나오기 쉽다.

이 연습은 라운드 전이나 샷 연습을 하기 전에 매우 유용하다. 유의할 점은 백스윙 동작을 할 때 시선이 그립 끝을 따라가지 않고 볼이 놓인 지점에 고정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오른팔의 역할과 어깨 회전의 느낌을 잘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백스윙은 샤프트 사이 간격을 유지하면서 내 회전의 가동 범위만큼 왔다 싶을 때까지만 해준다. 과하게 돌리는 것은 거리를 늘리는 데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양 팔이 접히면서 방향 전환과 다운스윙에서 잘못된 동작을 부를 수 있다.

김기환 남서울CC 로직골프아카데미 원장은 한국프로골프(KPGA) 투어 선수 출신으로 이정은6, 박보겸, 이승택 등을 지도하고 있다. 동작 시범을 맡은 조은설은 국가 상비군 출신으로 KPGA 투어 프로를 거쳐 현재 교습을 하고 있다.
김세영 기자 sygolf@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