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정부 국정원장 후보자도 찬성한 ‘간첩법 개정’, 이번엔 될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가 간첩법(형법 98조) 개정 필요성에 대해 "반드시 빨리 개정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밝힌 것을 계기로 간첩법 개정 작업이 다시 활기를 띨 수 있을지 주목된다.
우리도 국제 흐름에 맞게 간첩법상 '적국'을 '외국'으로 수정하는 법 개정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이유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북한만 적국인 상황에서
간첩 처벌 못 하는 간첩법 전락
주요국은 ‘적국’ 아닌 ‘외국’ 규정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가 간첩법(형법 98조) 개정 필요성에 대해 “반드시 빨리 개정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밝힌 것을 계기로 간첩법 개정 작업이 다시 활기를 띨 수 있을지 주목된다.
동시에 북한은 우리 법체계상 ‘국가’가 아닌 ‘반국가단체’로 취급된다. 그런데 북한 간첩에게 간첩죄를 적용할 경우 북한을 하나의 국가로 인정하는 셈이 된다. 이 때문에 북한 간첩에게는 국가보안법을 적용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현행 간첩법으로는 북한 간첩도, 그 밖의 해외 어느 나라 간첩도 처벌할 수 없는 셈이다.
이처럼 허술한 간첩법은 1953년 형법이 제정된 이래 단 한 번도 고쳐지지 않았다. 지금의 간첩법은 일본의 전시(戰時)형법을 모방한 것이어서 시대 변화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미국과 영국, 독일 등 세계 주요국은 간첩법 처벌 대상을 ‘적국’에 한정하지 않고 ‘외국’으로 설정하고 있다. 우리도 국제 흐름에 맞게 간첩법상 ‘적국’을 ‘외국’으로 수정하는 법 개정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이유다.
지난해 7월 군 정보요원 신상정보 유출 사태를 계기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의원들이 잇달아 간첩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후 간첩법 개정 지연을 둘러싼 여야 책임공방이 불거진 끝에 개정안이 여야 합의로 11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법안1소위를 통과했다. 이후 개정안은 공청회를 거쳐 법사위 전체회의에 상정될 것으로 예상됐다.
국회의 간첩법 개정 논의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위헌·불법적 12·3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멈춰 섰다. 특히 윤 전 대통령이 대국민담화에서 계엄 선포 사유 중 하나로 당시 야당이던 ‘민주당의 간첩법 개정 반대’를 제시한 것은 법 개정 움직임에 찬물을 끼얹은 격이 됐다. 윤 전 대통령의 발언으로 안보 사안인 간첩법 개정의 정당성이 한순간에 위헌·불법 계엄을 정당화하는 핑곗거리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법무부 장관 시절부터 간첩법 개정 필요성을 강조했고 국민의힘 대표 취임 후엔 이 법 개정을 당론으로 추진하는 데 앞장섰던 한동훈 전 대표가 계엄군의 체포 대상에 올랐던 것도 윤 전 대통령 주장의 신빙성을 떨어뜨린 요인이었다.
배민영 기자 goodpoint@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애들, 남편 있어도 행복하지 않았다” 장윤정, 가족도 이해 못 하는 아픔 고백
- 상간녀 3명과 불륜설 겪은 탁재훈 “바람 때문이었으면 이혼 안 했다”…진실은?
- “이규혁한테 속았다, 결혼 후회” 손담비, 눈물 쏟으며 밝힌 남편 ‘만행’
- “내 사전에 이혼은 없을 줄 알았다” 조윤희가 직접 밝힌 이동건과의 이혼 사유
- 남편 도경완 불치병 진단 3달 만에 장윤정도 시술…이게 다 무슨 일?
- 조성모 “실종됐던 자폐증 큰형, 뺑소니로 사망”…가슴 아픈 가정사 고백
- 5년 전 그날의 진실…혜은이 한마디에 박원숙 무너졌다
- 정동원은 임영웅을 ‘형’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특별한 애칭 공개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