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장병 진급 누락 제도 반대"… 아빠가 국민청원 나선 이유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 세계 유일한 분단국가에서 스무 살이란 꽃다운 나이에 나라의 부름을 받아 입대한 병사들의 사기 저하와 상호 혼란을 야기하는 '진급 누락 제도'에 반대합니다."
그는 "최근 확인한 바에 따르면 병사들의 자동 진급 제도가 폐지되는 대신, '무한 진급 누락'이라는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올 제도가 시행된다고 한다"고 전했다.
만약 일병 계급의 병사가 계속 진급에 실패할 경우 극단적으로는 전역하는 달이 돼서야 상병 계급장을 달고, 전역 당일 병장으로 제대하는 식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동 진급' 체계 조만간 폐지 수순
장병 부모들 "병사 사기 저하" 반발
"월급 줄여 세수 결손 막나" 의심도
"전 세계 유일한 분단국가에서 스무 살이란 꽃다운 나이에 나라의 부름을 받아 입대한 병사들의 사기 저하와 상호 혼란을 야기하는 '진급 누락 제도'에 반대합니다."
지난달 23일 국회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는 이 같은 내용의 게시글이 올라왔다. 작성자는 박모씨로, "하나뿐인 아들을 군에 입대시킨 평범한 아비"라고 본인을 소개했다. 그는 "최근 확인한 바에 따르면 병사들의 자동 진급 제도가 폐지되는 대신, '무한 진급 누락'이라는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올 제도가 시행된다고 한다"고 전했다.
박씨가 언급한 '진급 누락 제도'는 전군에서 조만간 시행될 예정인 병사 진급 심사를 뜻한다. 지난해 6월 국방부가 개정한 '군인사법 시행규칙'에 따른 제도 변화다. 지금까지 군 장병들은 일정 기간만 지나면 진급하는 데 대체로 문제가 없었다. 예컨대 복무 기간 18개월인 육군을 기준으로 이등병은 2개월, 일병과 상병은 각각 6개월만 거치면 다음 계급으로 진급하는 게 당연했다. 예외적으로 육군에서만 특정 사유가 있을 경우 최장 2개월 동안 진급 누락이 가능했다.
그런데 새 제도가 시행되면 진급 심사 기준을 통과하지 못한 병사는 계속해서 특정 계급으로만 복무하게 된다. 만약 일병 계급의 병사가 계속 진급에 실패할 경우 극단적으로는 전역하는 달이 돼서야 상병 계급장을 달고, 전역 당일 병장으로 제대하는 식이다. 이렇게 되면 군대 후임과 선임 간 '계급 역전'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도 크다.
장병 부모들은 계급 심사 시행 배경에 정부의 인건비 절감 의도가 있다고 의심한다. 현재 이등병은 75만 원, 일병은 90만 원, 상병은 120만 원, 병장은 150만 원을 각각 월급으로 받는다. 최근 들어 병사 월급이 대폭 인상된 만큼 정부가 계급장 문턱을 높여 진급에 따른 인건비 지출을 줄이려고 한 게 아니냐는 것이다. 박씨는 "열악한 근무 환경 속에서 근무하는 병사들도 많은데 그런 아들들에게 주는 월급을 줄여서 세수 결손을 메꾸고 싶은 것인지 정책 입안자에게 묻고 싶다"고 따졌다.
박씨의 '국군 장병 진급 누락 제도 반대에 관한 청원'에 동의한 사람은 20일 기준 6만 명을 돌파했다.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회부되는 기준(5만 명 이상 동의)을 충족한 결과, 해당 안건은 조만간 국방위원회에서 논의될 예정이다.
다만 군 당국은 국방력 증진을 위해 장병 진급 심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체력 검사 등을 거쳐 아주 기본적인 조건만 갖추면 대부분 진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며 "무기한 진급 누락과 같은 사례는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강한 군대를 양성하기 위한 조치일 뿐, 장병들 월급 지출을 줄이려는 목적은 전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장재진 기자 blanc@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국가 혼자는 어렵다"... 李 대통령, 재계 수장들 만나 '경제 외교전' 당부 | 한국일보
- 이장우·조혜원, 11월 23일 결혼… 7년 열애 결실 | 한국일보
- 김정숙 여사, '양산 사저 시위 소음' 질문에… "소리치고 싶어요" 토로 | 한국일보
- [단독] 박하나♥김태술 "오늘 결혼... 특별한 이벤트 준비" (인터뷰) | 한국일보
- 20대 남성들은 왜 극우의 길을 선택했을까? | 한국일보
- 아내 살해하고도 "나는 잘했다" "미안한 거 없다" 궤변 | 한국일보
- 28시간 만에 덜미 잡힌 전직 군 장교의 끔찍한 계획 범죄 [사건플러스] | 한국일보
- "그 여자 누구야?"… 박영규, 25세 연하 아내와 데이트 중 위기 ('살림남') | 한국일보
- "성폭행 신고한다" 만취한 선배에게 15억 뜯은 공무원 항소심도 징역 6년 | 한국일보
- [단독] 국정위, 군 초급간부 초봉 300만원 보장 검토… '간부 정년 연장'안도 [이재명 정부 국방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