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치료 받은 젊은 암환자 2명…몇 년 뒤 이런 ‘합병증’을?
10년 전에 뇌종양을 앓은 남성(22)과 3년 전에 '뇌내 생식세포종'을 앓은 남성(32)이 높은 선량의 방사선치료로 합병증을 뒤늦게 일으킨 사례가 학계에 보고됐다. 이들 환자는 중추신경계의 혈관기형(해면상혈관종)을 앓아 치료를 받아야 했다.
뇌종양을 겪은 남성은 두통·구토 등 증상을, 생식세포종양을 겪은 남성은 눈을 위아래로 움직이기 힘들고 눈의 초점이 맞지 않는 등 안구운동장애 증상을 호소하며 각각 병원을 찾았다. 서울대 의대 분당서울대병원(소아과-신경외과-방사선종양학과-병리과)과 국립의료원(양성자치료센터) 연구팀은 정밀검사 등을 토대로, 이 두 남성 환자에게 '방사선 유발 해면상혈관종(RIMS)'이라는 진단을 내렸다.
연구의 교신 저자인 최형수 교수(소아청소년과, 암센터·혈액종양)는 "방사선 유발 해면상혈관종은 혈관기형의 일종으로, 드물기는 하나 고선량 방사선치료의 중요한 합병증에 해당한다. 특히 뇌종양 생존자 중 젊은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교수는 "두 남성 환자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 복합적인 치료를 받은 뒤 합병증으로 해면상혈관종을 일으켰다"고 덧붙였다.
방사선치료에서 40~60그레이(Gy) 이상의 고선량 방사선을 쬐는 암으로는 두경부암, 폐암, 식도암, 전립선암, 자궁암, 항문암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밖에 뇌종양, 유방암, 직장암 등 환자도 이 선량에 준하는 방사선치료를 받을 수 있다. 원발성 뇌종양과 일부 유방암 환자가 40Gy 이상의 방사선 치료를 받는 사례도 꽤 있다. 일반적으로 40Gy 이상의 높은 선량의 방사선을 쬐면 위험하지만, 사람에 따라 그 이하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 환자, 방사선치료 꼭 받아야 하지만…추후 의료진의 추적관찰, 환자의 관심 필요"
12세에 악성 뇌종양(뇌암 중 수모세포종) 진단을 받았던 남성 환자는 방사선 치료(두개 내와 종양 부위), 동종 말초혈액 줄기세포 이식(2회 연속) 수술을 받았다. 치료를 끝내고 약 8년 후 추적관찰 영상검사에서 오른쪽 작은 뇌(소뇌)에서 소규모 국소 출혈이 발견됐다. 이는 '방사선 유발 해면상혈관종'의 병변에 해당한다. 환자는 무증상 상태로 정기적인 영상검사와 함께 관리를 받았고, 치료 후 약 9년이 됐을 때 병변이 자연적으로 소실되고 크기가 크게 줄었다.
3년 전 '뇌에 생긴 생식세포종'으로 방사선치료(전뇌실)를 받은 남성 환자는 증상과 출혈이 있는 '방사선 유발 해면상혈관종'으로 진단받았다. 생식세포종은 난자와 정자를 만드는 생식세포에서 주로 발생하는 종양이다. 고환이나 난소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특이하게도 뇌와 종격동(가슴뼈와 척추 사이의 공간)에도 생길 수 있다. 이 환자는 수술(수술적 절제와 감마나이프 수술)을 받아 병변이 안정됐다. 하지만 떨림·보행장애 등 증상이 지속돼 일상활동에 지장을 받았다. 연구팀은 두 환자에게 맞춤 치료를 제공했다.
"방사선치료의 합병증에 의한 해면상혈관종, 잠복기 4개월~41년(평균 9.9년)"
연구팀에 의하면 '방사선 유발 해면상혈관종'은 전통적인 방사선치료를 받은 어린이와 젊은 성인 등 뇌종양 생존자에게서 많이 생긴다. 이 병은 1992년 치료용 방사선 노출과 관련해 처음으로 보고됐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혈관종이 비해 약 6배 더 많이 발생한다. 일반인의 발병률은 약 0.5%다. 이 병은 고선량 방사선(40~60Gy)을 쬔 뒤 중추신경계의 방사선 조사 부위에서 발생하며, 잠복기는 4개월~41년(평균 잠복기는 9.9년)이다. 대부분 치료 후 첫 10년 이내에 발생한다.
방사선 유발 해면상혈관종은 뇌종양(수모세포종 등), 뇌내 생식세포종, 뇌실막종, 낮은 등급의 신경교종, 혈액암 등 원발성 암의 방사선 치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문헌에는 300건 이상의 사례가 보고돼 있다. 연구팀은 "방사선치료의 합병증으로 뒤늦게 나타나는 증상에 대한 장기적인 추적관찰과 맞춤형 관리 전략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같은 사례연구 결과(Radiation-Induced Cavernous Malformation in the Cerebellum: Clinical Features of Two Cases)는 대한뇌종양학회가 발행하는 저널 ≪뇌종양 연구와 치료(Brain Tumor Research and Treatment)≫에 실렸다.
김영섭 기자 (edwdkim@kormedi.com)
Copyright © 코메디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느낌 확 다르네” 삐쩍 말랐던 男, 매일 ‘이 운동’ 했더니...전후 모습은? - 코메디닷컴
- “5000원 짜리로 혼자 치아 본뜨려다”…석고가 입속에 굳은 中여성, 무슨 일? - 코메디닷컴
- “역대 최고 몸무게” 윤현숙, 갑자기 확 살쪄…‘이 병’ 때문? - 코메디닷컴
- “덥수룩 턱수염 나도 안깍아”…털 난채로 산다는 42女, 새 ‘여성성’ 제시하고 싶다고? - 코메
- “비현실적 몸매”…카일리 제너, 아침에 ‘이 주스’ 마시는 게 비결? - 코메디닷컴
- 입 벌리고 자는 버릇…‘이것’ 망가지는 지름길? - 코메디닷컴
- “48세 몸매 맞아?” 하지원 ‘무보정’ 실물 화제…비결 뭐길래? - 코메디닷컴
- “아무리 향수 뿌려도 안돼”...몸에서 생선 썩는 냄새난다는 女, 무슨 이유? - 코메디닷컴
- “가슴 보형물 덕에 ‘암’ 빨리 발견?”...샤워 중 멍울 쉽게 잡혔다는 32세女, 진짜? - 코메디닷
- “‘이 음식’ 끊었을 뿐인데”…38kg 빼고 확 바뀐 20대女, 어떻게? - 코메디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