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오늘 G7 참석차 캐나다로 출국···1박3일 첫 다자외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16~17일(현지시간)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통해 외교 무대에 데뷔한다.
위 실장은 이 대통령의 이번 정상회의 참석 관련 기대되는 점에 대해 "이번 회의는 세계 경제를 선도하는 주요국 정상들이 모이는 회의라는 점에서 국익 중심 실용외교의 첫 걸음을 내딛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무엇보다 이 대통령 취임 후 십 여일 만에 주요국 정상들과의 대면을 통해 조기에 신뢰 관계를 구축할 기회를 갖게 된다는 점에서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16~17일(현지시간)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통해 외교 무대에 데뷔한다. 취임 후 12일 만에 다자 정상외교에 나서는 셈이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배우자인 김혜경 여사와 함께 한국시간 기준 16일 캐나다로 출국해 1박3일의 일정을 마친 뒤 18일 귀국할 예정이다. G7 회의에는 회원국(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외에도 한국, 호주, 브라질, 인도, 멕시코, 남아프리카공화국, 우크라이나 등 총 7개국 정상이 초청받았다.
G7 정상회의는 주요 7개국과 EU(유럽연합) 정상이 모여 세계 정치와 경제를 논의하는 협의체로 1975년 처음 개최됐다. 한국 대통령이 G7 정상회의에 초청된 것은 이번이 다섯번째다.
이 대통령은 16일 오후(현지시간) 캐나다 캘거리에 도착해 곧바로 공식 일정에 돌입한다. 이 대통령은 도착하자마자 초청국 주요 정상들과 먼저 양자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회담 일정은 현재 조율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초청국 가운데 우크라이나도 있어 이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만남 가능성도 제기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지난 15일 기자들과 만나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이번 G7 정상회의에 오실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며 "그렇다면 (이 대통령과) 조우할 기회가 있을 것이고 기회에 따라 대화가 있을 수 있어 관련 준비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양자회담 일정에 이어서 이 대통령 내외는 16일 저녁 캐나다가 초청하는 공식 일정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이 대통령은 캐나다 방문 이틀째인 17일(현지시간) 오전, 캐나다 캘거리에서 약 100km 떨어진 캐내내스키스로 이동해 G7 회원국과 초청국의 정상들이 함께하는 확대세션에 참석한다.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에너지공급망 다변화 △AI·에너지 연계를 주제로 두 차례 발언할 예정이다.
이날 확대세션을 전후한 시점에 한미 정상회담, 한일 정상회담도 성사될지가 주요 관심사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전날(15일) 기자회견에서 "확대세션 참석 전후 G7 회원국을 포함해 주요국 정상들과 양자회담을 가질 예정"이라며 "현재 일정을 조율중이나 다자회의의 유동적 특성상 세부 조율이 계속되고 있어 이 자리에서 국가명을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어려운 사정이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G7 일정을 모두 마치면 다시 캐나다 캘거리로 이동해 출국, 한국 시간 기준 18일 늦은 오후에 귀국할 것으로 보인다.
위 실장은 이 대통령의 이번 정상회의 참석 관련 기대되는 점에 대해 "이번 회의는 세계 경제를 선도하는 주요국 정상들이 모이는 회의라는 점에서 국익 중심 실용외교의 첫 걸음을 내딛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무엇보다 이 대통령 취임 후 십 여일 만에 주요국 정상들과의 대면을 통해 조기에 신뢰 관계를 구축할 기회를 갖게 된다는 점에서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세계 경제 대국 정상들과의 교류는 우리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우리 기업 활동은 물론, 민생 회복과 경제 살리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여러 양자 회담을 통해 국익과 실용의 관점에서 주요국과의 우호 협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통상, 무역 등 현안 논의에서 진전을 이루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성은 기자 gttsw@mt.co.kr 이원광 기자 demia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이홍기 20년째 희귀병 투병…"수술 8번, 엉덩이 흉터 콤플렉스" - 머니투데이
- "VIP가 5천만원 준다고"…유부남 개그맨 스폰서 제안 폭로 - 머니투데이
- 전현무도 "우와!" 감탄…장한나 美부촌 '200평' 대저택에 '입이 쩍' - 머니투데이
- '박수홍♥' 김다예, 확 달라진 얼굴 깜짝…"출산 후 30㎏ 뺐다" - 머니투데이
- 임신→유서 쓰고 사라졌던 서민재…스토킹 고소한 남친에 또 분노 - 머니투데이
- "공 주우러 갔다 급류 휩쓸려"…캠핑장 앞 하천서 7세 어린이 숨져 - 머니투데이
- "집 포기" 3040 매수 문의 뚝 끊겼다…강남·성남은 이미 '거래절벽' - 머니투데이
- "갤S25 공짜" 보조금 전쟁에 '엣지' 효과…하반기엔 '자체칩' 승부수 - 머니투데이
- 정은경 복지장관 후보자 "주식 논란 잘못된 내용 많아…의료계와 협력 복원 시급" - 머니투데이
- 동네에 많던 편의점, 돌연 '폐점·폐점'…두 달간 313곳 줄었다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