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밥부터 구내식당까지…"사 먹기 두렵다" 초비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외식 물가가 최근 5년 새 25%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 속도의 1.5배 수준으로 김밥과 햄버거 등 9개 품목은 상승률이 30%를 훌쩍 넘었다.
반면 외식 품목 39개 중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상승률이 낮은 것은 소주(16%) 등 4개뿐이다.
같은기간 농축수산물이 22% 상승한 것과 비교해도 외식 물가 상승률이 더 빠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0년 외식부문 100 기준 지난달 지수 124.56
소비자물가지수 16% 오를 때 1.5배 속도 빨라
김밥(38%), 햄버거(37%) 떡볶이, 짜장면, 라면 30%↑
구내식당 식사비도 24% 올라
원재료, 인건비, 고환율에 배달비도 한몫..."소비진작要"
[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외식 물가가 최근 5년 새 25%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 속도의 1.5배 수준으로 김밥과 햄버거 등 9개 품목은 상승률이 30%를 훌쩍 넘었다.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외식 부문 소비자물가지수를 100으로 했을 때 지난달 지수는 124.56으로 상승률이 25%에 달한다. 같은기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는 16% 올랐다. 외식물가가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1.5배 빠르게 오른 셈이다.
또한 짬뽕·돈가스·칼국수(29%), 볶음밥·비빔밥·치킨·설렁탕(28%)도 상승률이 30%에 이르고 여기에 냉면·김치찌개(27%), 된장찌개(26%), 삼겹살(22%) 등까지 더하면 20% 이상 상승한 품목이 30개에 이른다. 구내식당 식사비도 24% 올랐다.
반면 외식 품목 39개 중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상승률이 낮은 것은 소주(16%) 등 4개뿐이다. 같은기간 농축수산물이 22% 상승한 것과 비교해도 외식 물가 상승률이 더 빠르다. 같은 기간 가공식품은 24% 상승했다.
축산물과 수산물도 원달러 환율 상승까지 겹쳐 20%가량 상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원달러 환율은 코로나 유동성 폭발과 맞물려 2020년 12월 1082원까지 떨어졌다가 지난해 말 계엄사태 이후 1480원까지 치솟은 뒤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최근 1350원대로 내려왔다.
외식 물가에는 배달비 상승도 한몫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윤홍근 한국외식산업협회장(제네시스BBQ 회장)은 지난 13일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와 가진 식품·외식 물가 간담회 후 기자와 만나 “매출 30~40%가 배달앱으로 간다”면서 배달비가 외식 품목 가격에 포함된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외식 물가가 자꾸 올라간다고 생각하기 쉽다는 취지로 말했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도 같은 간담회에서 “배달 중개 수수료 문제가 크다”면서 “수수료 적정선을 어떻게 할 것인지 입법을 포함한 고민이 시작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김민석 후보자는 유통 구조 개선 필요성도 언급했다. 거래의 불투명성을 이유로 국민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방식은 개선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2023년 기준 농축산물 평균 유통비용률은 49.2%인데, 1만원을 내고 농축산물을 샀다면 5000원 정도를 유통비용으로 내는 셈이다.
정부는 수입 원재료 가격 안정을 위한 일정 기간 일정량의 수입품에 대해 일시적으로 관세율을 낮추는 할당관세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내수 활성화 필요성 목소리가 더 큰 모양새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 계엄 이후 소비 심리가 더욱 악화된 부분이 있어 식품업계에서는 원가가 오르는 상황에서 양쪽 모두에서 압박을 받고 있는 셈”이라며 “물가 관리는 지속하되 정부가 소비 진작에도 힘을 써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노희준 (gurazip@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등급 수습사원, 돌아온 건 '해고'..부당해고일까?[슬기로운회사생활]
- "외국인이 부동산 쓸어간다" 지적에…결국 칼 빼들었다
- 이재명 정부 초대 AI수석 하정우는 누구?...실무·정책 전문가
- 李 "라면 2000원 진짜?" 발언에…재소환된 '이 라면' 맛은[먹어보고서]
- 장영란도 94억 베팅했다…집값 폭등 이곳 아파트는[누구집]
- "집값 더 오를거야"…'영끌' '패닉바잉' 더 심해진 이유
- 6차 미-이란 핵협상 취소…美는 “협상은 지속할 것”
- '뇌물수수 혐의' 문재인 전 대통령, 17일 재판 시작
- 메시, 클럽월드컵 개막전서 웃지 못했다...인터 마이애미, 알 아흘리와 무승부
- 대낮 ‘8세 여아’ 성폭행…끔찍했던 현장 검증 [그해 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