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되는 맛의 세계

한겨레21 2025. 6. 15. 07: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래 알고 지낸 선배가 최근 타이 여성과 결혼했다.

오랜만에 우리 부부를 집으로 초대한 날, 선배의 부인은 타이식 샐러드 '솜땀'과 소시지에 스피어민트잎을 볶은 요리를 함께 내놓았다.

오래전 후무스(으깬 콩에 오일과 마늘을 섞어서 만든 중동 음식)를 만드는 워크숍에서 만난 이라크 난민 유스라와 소셜미디어 친구를 맺었는데, 어느 날 그가 내 텃밭 사진을 보고 보리지와 스피어민트를 구하고 싶다고 연락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농사꾼들]-인천 계양편
이국적 채소가 자리 잡는 텃밭… 이웃에 위안되고 내 식탁도 풍성해지네
이라크 친구 유스라를 떠올리며 심은 보리지가 잘 자랐다.

오래 알고 지낸 선배가 최근 타이 여성과 결혼했다. 오랜만에 우리 부부를 집으로 초대한 날, 선배의 부인은 타이식 샐러드 ‘솜땀’과 소시지에 스피어민트잎을 볶은 요리를 함께 내놓았다. 이전까지 나는 민트를 디저트나 차에만 쓰는 재료라고 생각했다. 접시 위에 불에 그슬린 민트잎이 올라간 모습은 어쩐지 낯설었지만, 기름진 소시지와 조화롭게 어울렸다. 민트도 이런 조합이 가능하구나. 맛의 세계가 조금은 확장된 느낌이었다.

선배의 부인에게는 타이에서 자주 먹는다는 스노피와 딜, 공심채를 수확해 보답했다. 특히 공심채는 올해 처음 텃밭에 심어본 작물인데 선배의 가족에게 그걸 줄 수 있어 얼마나 기뻤는지 모른다. 나는 아직 맛도 보지 못한 첫 수확을 고스란히 가져다줘야 했지만, 나보다 그 맛을 더 잘 아는 현지 사람이 먹는다고 생각하니 괜히 우쭐해졌다.

그러고 보니 2024년 겨울에도 쓰임을 모르는 허브가 주인을 제대로 만난 적이 있었다. 오래전 후무스(으깬 콩에 오일과 마늘을 섞어서 만든 중동 음식)를 만드는 워크숍에서 만난 이라크 난민 유스라와 소셜미디어 친구를 맺었는데, 어느 날 그가 내 텃밭 사진을 보고 보리지와 스피어민트를 구하고 싶다고 연락했다. 겨울이라 텃밭이 텅 비어 있었지만 말려서 저장해둔 것이 있었다. 쓰임을 제대로 알지 못해 차로 마셔야지 했는데 때마침 그 진가를 알아줄 임자가 나타났다.

유스라와는 같은 인천에 살아서 중간에 만나 차 한잔 함께 하며 말린 허브를 전달했다. 그는 특히 말린 보리지를 반겼는데, 보리지가 포장된 봉지를 열고 정말 오래된 가족이나 친구를 만난 듯한 표정을 지으며 한참 동안 향을 맡았다. 그래서 올해는 유스라를 생각하며 보리지를 심었다. 그동안 보리지는 섞어짓기와 꿀벌을 초대하기 위해 심었는데 누군가에게는 고향의 맛이 된다니, 보리지를 볼 때마다 유스라의 표정이 떠올라 마음이 뭉클해진다.

2026년에는 팔라펠(콩을 으깨어 만든 작은 경단을 납작한 빵과 함께 먹는 중동 음식) 재료로 쓰인다는 누에콩을 길러볼까. 누에콩은 우리 밭에도 제법 잘 맞는 작물이지만 매번 심을 자리가 마땅치 않아 미뤄왔는데 2026년엔 꼭 자리를 마련해 유스라에게 한 아름 안겨줘야지. 자신만을 위해 직접 길러 선물한 누에콩을 본다면 유스라가 어떤 반응을 보일지 정말 기대된다.

유스라를 비롯해 요즘은 인천에도 다양한 나라에서 다양한 사정으로 이주해온 사람이 많이 산다. 예전에는 특정 지역에서나 볼 수 있던 이국적 식당이나 마트가 점점 내가 사는 곳 가까이까지 들어온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동네 종묘상에서 오크라 씨앗을 찾으면 “그건 외국인 많이 사는 파주 같은 데서나 팔아요”라는 답을 들었지만 벌써 내 텃밭에서만 오크라 네 종류를 길러봤고, 동네 마트에서도 다양한 허브가 나물 옆에서 나란히 포장 판매되고 있다. 아직 그 채소가 주식인 사람들이 내 눈에 선명하게 보이진 않는다. 하지만 내 텃밭에 심은 이 식물들이 보이지 않는 이웃들에게 위안이 돼준다면 좋겠다. 아직은 시금치나 배추보다 맛이나 조합이 낯선 이 식재료가 내 식탁에서도 풍성한 맛을 보여주기를 바란다.

글·사진 이아롬 프리랜서 기자

Copyright © 한겨레2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