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李정부 공통정책 찾았다…“라면값 내려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정부의 식품물가 관리 의지가 강하게 표출되면서 라면 가격이 도마에 올랐다.
이 대통령은 지난 9일 제2차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라면 한 개에 2000원 한다는데 진짜냐"며 식품 가격 안정의 필요성을 직접 언급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할당관세를 통해 가격 인상 억제에 나섰지만,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년전엔 추경호 당시 경제부총리가 나서
라면가격 인하 요청...농심·오뚜기 5% 내려
이같은 발언에 2023년 농심과 오뚜기가 라면 가격을 인하했던 전례가 다시 거론되고 있다. 당시 두 업체는 신라면, 스낵면, 진짬뽕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을 평균 5%(약 50원) 인하했다. 가공식품은 가격이 오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가격 인하는 업계에서 극히 이례적인 조치로 평가된다.
이례적 가격 인하는 윤석열 정부의 강도 높은 압박 속에 이뤄졌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추경호 당시 경제부총리는 언론 인터뷰에서 “밀 가격이 1년 전보다 50%, 지난해 말보다 20% 가까이 하락했다”라며 1년 전 가격을 올린 업계에 사실상 가격 인하를 요청했다. 기업의 자율적 판단을 강조하던 정부 기조와는 달리 사실상 공개 압박에 나섰던 셈이다.
이번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새 정부가 출범한 지 한 달도 지나지 않은 시점으로, 기업 입장에서는 정부 기조를 가장 예민하게 살필 수밖에 없다. 더욱이 대통령이 직접 라면값을 거론하며 목소리를 높인 만큼 정책 압박의 강도는 과거보다 오히려 세졌다는 평가다.
국제 밀 가격 흐름도 당시와 닮았다. 올해 5월 국제 곡물가격지수는119포인트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8.2% 하락했다. 원재료 비용은 줄었지만, 소비자 가격은 좀처럼 떨어지지 않아 정부의 불만이 커지는 배경이기도 하다.
12.3 계엄에 따른 국정 공백 속에서 식품 가격 상승세는 계속됐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할당관세를 통해 가격 인상 억제에 나섰지만,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올해 상반기에만 60여 개 식품업체가 제품 가격을 올렸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할당관세만으로는 역부족이다. 기획재정부와 공정거래위원회 등 핵심 부처가 함께 나서야 정책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기조에 민감한 식품업계는 ‘새 정부 허니문’ 국면 속에서 대응 수위를 저울질하는 분위기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는 지난 13일 식품·외식업계 관계자들과 ‘밥상 물가안정 경청 간담회’를 열고 “이제는 기업의 판매가를 억누르는 방식으로 규제하는 시대는 아니다”라고 밝혔지만 현장에서는 사실상 강도 높은 압박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 내외로 안정세를 보이지만, 가공식품 및 외식 부문은 3~4%대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는 “그동안 누적된 원가 부담이 이제야 반영된 결과”라는 입장이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李대통령 장남, 오늘 서울서 비공개 결혼…인근 경호 강화 - 매일경제
- “대통령 탄핵” 들이박더니…“후회한다” 곧바로 꼬리 내린 머스크 [이번주인공] - 매일경제
- [속보] 대구 ‘신변보호 여성’ 피살살해 용의자 닷새 만에 검거 - 매일경제
- “화장기 없는 민낯으로 처음 나타났다”…템플스테이 간 오은영, 무슨일이 - 매일경제
- 한국서 최초, 전세계서 세번째…상용화 성공했다는 HD한국조선해양의 이 기술 - 매일경제
- “소름 돋았다”…27년전 ‘11A’ 좌석에 앉았다 살아난 태국 유명배우 - 매일경제
- “수지도 입고 다닌데요”…출시 한달만에 1만5000장 팔린 이 옷의 정체 - 매일경제
- “특검이 부르면”…‘소환 조사 출석’ 고려중이라는 김건희 여사, 尹은? - 매일경제
- “2년전 후배가수 매니저 떠나보냈다”…처음 입 연 장윤정, 가슴 아픈 사연 - 매일경제
- 홍명보가 옳았다? “김민재 보호 안 해” 작심 저격…뮌헨 단장은 “잘 관리했어” 정면 반박 -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