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빈 건물’ 어쩌나... 양주 옥정 지식산업센터 ‘찬바람’ [현장, 그곳&]

이종현 기자 2025. 6. 14. 10: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무실 임대 문의는커녕 전화 한 통도 걸려 오지 않는 실정입니다."

13일 오전 11시30분께 양주 옥정신도시 외곽의 업무지원시설 부지 내 지식산업센터 앞.

양주 옥정신도시 등 지역 내 지식산업센터들이 임차인을 찾지 못한 채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옥정신도시 업무지원부지에는 2022년 분양한 듀클래스를 비롯해 메가시티 등 지식산업센터 여섯 곳이 임차인을 기다리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무실 임대 문의도 발길도 끊겨, 임차인 ‘하늘에 별따기’ 침체의 늪
2022년부터 ‘우후죽순’ 공급 과잉... 市, 입주자격 완화, 백약이 무효
양주 옥정신도시 업무지원시설 부지에 들어선 지식정보센터 내부가 텅 빈 채 방치되고 있다. 이종현기자


“사무실 임대 문의는커녕 전화 한 통도 걸려 오지 않는 실정입니다.”

13일 오전 11시30분께 양주 옥정신도시 외곽의 업무지원시설 부지 내 지식산업센터 앞. 이곳에서 만난 공인중개사 A씨(59·여)는 손사래부터 쳤다. 점심시간이 임박했는데도 점심식사를 위해 밖으로 나오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거리는 한산했다.

지식산업센터 건물 내 부동산중개업소도 문을 닫은 곳이 수두룩했다. 영업 중인 사무실들도 문은 활짝 열어 놓았지만 찾는 이의 발길이 끊긴 채 적막하기만 했다. 지식산업센터 건물 1층에 입주 지원 등을 위해 설치된 모 은행 출장소도 집기류 몇 개만 남겨 놓은 채 철수해 텅 비어 있었다.

‘시행사 보유분 파격 혜택’ 등 임차인을 찾는 문구가 적힌 플래카드가 내걸렸지만 찾는 이의 발걸음은 뜸하긴 마찬가지다.

양주 옥정신도시 등 지역 내 지식산업센터들이 임차인을 찾지 못한 채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식산업센터는 부동산 규제에서 비교적 자유롭다는 이점과 각종 세제 해택, 70~80% 담보대출 지원 등 각종 투자 이점이 두드러지면서 옥정신도시 업무지원부지 내 2022년부터 우후죽순 건설되기 시작했다.

현재 옥정신도시 업무지원부지에는 2022년 분양한 듀클래스를 비롯해 메가시티 등 지식산업센터 여섯 곳이 임차인을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건물이 준공된 지난해부터 입주자를 찾지 못해 양주에서 가장 먼저 분양한 듀클래스(515실)가 공실률 31%로 양호한 편일뿐 슈프림브릭스타워(256호실) 83%, 이노테라타워(351호실) 95%, 메타엑스(31호실)·와아이테크엠(284호실)·메가시티(243호실)는 공실률이 99%에 이를 정도로 속빈 강정으로 방치되고 있다.

양주 옥정신도시 업무지원시설 부지에 들어선 지식정보센터에 임대를 알리는 문구가 적힌 플래카드만 걸려 있다. 이종현기자


이들 지식산업센터는 임대나 매매를 알리는 부동산중개업소 안내판만 덩그러니 붙어 있을 뿐 내부는 사무실 문은 굳게 닫혀 있고 주차장도 텅텅 비어 있어 유령 건물처럼 보일 정도다.

이 때문에 지식산업센터를 공유 업무시설이나 창고, 지식기반 제조공간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에 양주시는 지난해 말 산업단지 밖 지식산업센터 입주자격을 완화하는 등 지식산업센터 입주율을 높이기 위한 조치를 내놨지만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공실률이 높은 건 공급 과잉이 한몫하고 있다.

현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뾰족한 대책이 없는 가운데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사무실을 채울 기업의 수요가 거의 없어 심각성을 더해 주고 있다.

부동산 관계자는 “지식산업센터가 준공된 지 3년이 지났지만 현재 입주 문의 전화조차 없는 상태로 문을 닫아야 할 지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며 “언제 사정이 나아질지 막막하기만 하다”고 하소연했다.

시 관계자는 “침체된 지식산업센터를 활성화하기 위해 관련 규정을 고쳐 입주자격조건을 완화하는 조치를 취했지만 아직까지 피부에 와닿는 효과로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며 “지식산업센터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만큼 많은 기업이 들어올 수 있도록 기업 유치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종현 기자 major01@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