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옆자리 이재용 "자서전 읽어봤다"…5대그룹 총수와 첫 만남

김남이 기자 2025. 6. 13. 14: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을 만난 5대 그룹 총수와 경제계는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등 어려운 경제 환경을 민관이 함께 극복하자고 목소리를 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13일 대통령실에서 열린 '5대 그룹 총수 및 경제 6단체장 간담회'에서 "이번 경제 위기도 대통령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민관이 힘을 합친다면 반드시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삼성은 예정된 국내 투자와 고용을 차질 없이 이행해 어려운 경제 상황을 헤쳐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재용 "국내 투자와 고용을 차질 없이 이행"...최태원 "기업에 보여주신 관심, 경제계도 기대가 크다"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6경제단체와 기업인 간담회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을 만난 5대 그룹 총수와 경제계는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등 어려운 경제 환경을 민관이 함께 극복하자고 목소리를 냈다. 이와 함께 예정된 투자와 고용도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이 대통령에게 전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13일 대통령실에서 열린 '5대 그룹 총수 및 경제 6단체장 간담회'에서 "이번 경제 위기도 대통령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민관이 힘을 합친다면 반드시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삼성은 예정된 국내 투자와 고용을 차질 없이 이행해 어려운 경제 상황을 헤쳐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지금은 복합 위기 상황이고, 혹자는 IMF 위기에 버금가는 국난의 시기라고도 한다"며 "우리나라는 수많은 위기를 극복하면서 이 자리까지 성장했다"며 위기 극복에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이 회장과 이 대통령은 지난 3월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였던 이 대통령이 삼성전자 멀티캠퍼스를 찾은 후 3개월여 만에 자리를 함께했다.

이 회장은 이 대통령에게 "재계와 소통하는 자리 만들어주셔서 감사하다"며 "표방하신 실용적 시장주의라는 국정철학은 저희 삼성뿐만 아니라 여기 참석 중인 기업, 그리고 우리나라 모든 기업들에게 큰 힘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 회장은 "당장의 경제 위기를 이겨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20년, 30년 후 다음 세대 먹거리를 준비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삼성은 AI와 반도체, 바이오 투자를 늘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통산업에도 AI를 접목해 생산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고임금 일자리를 더욱 창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회장은 "대통령 되시고 나서 대통령의 자서전을 읽어봤다"며 "삼성의 모든 사회공헌 활동은 청소년 교육과 청년들이 어떻게 하면 사회적응을 빨리할 수 있을까, 이런데 많은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중소기업과 상생도 언급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6경제단체와 기업인 간담회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회장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의 회장도 "경제계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해 주시는 자리를 마련해 주신 것에 감사하다"며 "기업인들에 보여주신 관심에 경제계도 상당히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반갑고 감사한 자리지만 현재 국내의 여건은 그렇게 녹록하지는 않다"며 "안으로는 내수 부진과 투자 심리가 위축, 저출산.고령화 등 구조적인 문제들을 안고 있고, 밖에서는 미·중 패권 전쟁과 지정학적 갈등, 글로벌 리스크가 계속 어려움을 가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의 상호관세 문제로) 무엇을 결정할 수 없는 불안한 시간이 계속 흘러서 불안정한 형태가 돼서 기업인들이 사업을 결정하거나 투자를 하는 데 상당히 좀 어려움에 처해있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대통령과 새 정부에서도 통상.산업 정책을 조율하시는 데 고민이 많으실 걸로 사료된다"며 "우리 기업들도 정부와 함께 머리를 맞대고 해법을 모색하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의 정책 기조에 발맞춰서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잘 전달해 드리겠다"고 했다.

최 회장은 올해 11월에 열리는 APEC 정상회의와 관련해 "(APEC CEO 서밋에) 1700개의 해외 기업을 유치하려고 하고 있다"며 "민관이 원보이스로 협력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아주 좋은 플랫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APEC CEO 서밋의 성공을 위해서도 저희는 주요한 빅샷 기업인들을 초청하려고 노력 중"이라며 "행사의 위상과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정부의 적극적인 초청 및 행사 지원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경제계에서도 글로벌 네트워크를 총동원해서 정상회의의 성공과 국가 위상 제고에 기여하도록 하겠다"며 "오늘 자리가 민관이 긴밀히 공조해서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지혜를 모으는 뜻깊은 계기가 됐으면 하고, 앞으로도 기업의 목소리에 꾸준히 귀 기울여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김남이 기자 kimnami@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