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중국 인형, 금보다 낫다더니…경매서 2억원에 낙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라부부'(Labubu) 전문 경매에서 한정판 인형이 2억원에 낙찰됐다.
11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전날 베이징 피닉스 아트센터에서 열린 융러 경매(Yongle Auction)에서 라부부 인형 48점이 출시됐다.
'라부부 삼현자'(Three Wise Labubu) 시리즈의 목재 인형 3점 세트가 51만위안(약 9700만원)에 낙찰된 것도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中베이징 경매서 48점 출시…총 7.1억원에 팔려
싱가포르·대만 등서 온라인으로 수십만명 참여
최고 낙찰가는 108만위안…6년만에 베어브릭 넘어서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라부부’(Labubu) 전문 경매에서 한정판 인형이 2억원에 낙찰됐다.
‘라부부 삼현자’(Three Wise Labubu) 시리즈의 목재 인형 3점 세트가 51만위안(약 9700만원)에 낙찰된 것도 이목을 집중시켰다. 불과 한 달여 만에 가격이 2배 이상 올라서다. 120세트 한정판인 이 작품은 2023년 소더비 홍콩 온라인 경매에서 유찰된 바 있으나, 올해 5월 같은 경매에선 20만 3200홍콩달러(약 3600만원)에 팔렸다. 당시 최저 낙찰 추정가를 300% 초과한 금액, 즉 4배 가격에 팔린 것이어서 큰 화제를 불러모았다.
이번 경매는 라부부만 취급한 첫 전문 경매여서 큰 주목을 받았다. 현장에 200여명이 몰렸고, 온라인으로도 수십만명이 시청했다. 웨이보에서는 관련 해시태그가 4500만 조회수를 기록했다. 옥션 창립자인 자오쉬는 “1000명 이상이 입찰에 참여했으며 이 가운데 25%는 대만,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 중국 이외 지역의 입찰자였다”고 말했다.
아울러 라부부는 이번 경매를 통해 컬렉션 토이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자리를 잡은 아이템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라부부 창작자가 팝마트와 2019년 계약을 체결한 지 6년 만에 최고가 제품이 100만위안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실례로 메디콤 토이의 베어브릭의 경우 2001년 출시 후 2019년 크리스티 경매에서 칼 라거펠트 협업작이 역대 최고가인 3만달러(약 4100만원)에 낙찰됐는데 20년 가까이 걸렸다.
이와 관련, SCMP는 “중국 소셜미디어(SNS) 샤오홍슈에는 라부부 열풍에 자극받아 과거 고가에 구입했던 베어브릭 컬렉션을 꺼내는 이용자들이 늘고 있지만, 오히려 가치 하락을 확인하는 경우가 많아 대조를 이루고 있다”고 부연했다.
자오쉬 창립자는 “베어브릭은 회사가 디자인한 상품이지만, 라부부는 개별 아티스트의 창작물”이라며 “작가의 원화도 경매에 나오는 만큼 라부부는 상품보다 예술에 가깝다”고 추켜세웠다.
중국 상하이 소재 컬렉터이자 T&아트콘 컬렉션 토이 아트페어 창립자인 지앙슈양도 “라부부는 해외에서 훨씬 큰 팬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합리적인 원가로 신규 컬렉터들의 진입 장벽을 낮춘다”고 거들었다. 그는 다만 “과열 양상이 심해 언젠가는 거품이 꺼질 것”이라며 “앞으로는 투자가 아닌 취향 위주로 구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방성훈 (ba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민주당, 코스피 5000 총력"…별도 위원회 만든다
- “탈조선” 작심 발언 이국종…복지부장관 추천한 의사회
- 인적성까지 본 신입 채용 중단…에쓰오일, 무슨 일?
- 이 중국 인형, 금보다 낫다더니…경매서 2억원에 낙찰
- “입 다물 수 없다”는 명태균…“홍준표·이준석 다 잡아 넣어줄까”
- 강남역 일대서 '보아 모욕' 낙서 테러…경찰 신고 접수
- [단독]가세연, 김수현에 계좌·아파트 가압류…스토킹 혐의 항고도 기각(종합)
- "내가 대통령 됐을 땐 미국서 바로 전화"...윤석열, 전한길에 한 말
- '대형마트 휴무' 공휴일 강제?…"더 센 것 온다" 초긴장
- '초등생 성폭행' 징역 10년 女강사, '무죄' 대반전 [그해 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