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북부 과수화상병 잇따라…"올들어 49농가 15.8㏊ 피해"

이도근 기자 2025. 6. 11. 11: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충북 북부지역에서 과수화상병이 잇따르고 있다.

11일 도에 따르면 충주시 주덕읍 과수농장 2곳과 신니면·용산동 각 1곳, 제천시 봉양읍 1곳에서 과수화상병이 추가 발생했다.

이로써 지난달 12일 충주시 용탄동 사과농장에서 올해 첫 과수화상병이 발생한 이후 도내 누적 피해는 8개 시군 49개 농가 15.8㏊로 늘었다.

도내에서는 2021년 208농가(97.1㏊), 2022년 88농가(39.4㏊), 2023년 89농가(38.5㏊)가 과수화상병 피해를 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충주=뉴시스] 이병찬 기자 = 김영환(왼쪽 네 번째) 충북도지사와 조길형(왼쪽 세 번째) 충주시장이 5일 충북 충주시 주덕읍의 한 과수원에서 과수화상병 방제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충주시 제공) 2025.06.0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청주=뉴시스] 이도근 기자 = 충북 북부지역에서 과수화상병이 잇따르고 있다.

11일 도에 따르면 충주시 주덕읍 과수농장 2곳과 신니면·용산동 각 1곳, 제천시 봉양읍 1곳에서 과수화상병이 추가 발생했다.

이로써 지난달 12일 충주시 용탄동 사과농장에서 올해 첫 과수화상병이 발생한 이후 도내 누적 피해는 8개 시군 49개 농가 15.8㏊로 늘었다. 전국 발생 면적(85농가·30.6㏊)의 51.6%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충주 30곳(11.5㏊), 음성 7곳(0.97㏊), 제천 6곳(2.32㏊), 진천 2곳(0.12㏊), 청주(0.15㏊)·증평(0.01㏊)·단양(0.5㏊)·괴산(0.23㏊) 각 1곳이다.

농정당국은 발생 농장에 대해 출입 제한 조치를 내리고 감염나무 제거와 매몰 처리 작업을 하고 있다. 현재까지 38곳에서 13.01㏊ 매몰을 마쳤다.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발생농가 바이러스 유입 경로를 역학조사하는 한편 인접 시군에 대한 예찰도 강화하고 있다.

과수화상병은 과일나무가 세균에 감염돼 잎이나 줄기, 꽃, 열매 등이 불에 타 화상을 입은 것처럼 갈색으로 변하다가 고사하는 병이다. 전염성이 강하고 별다른 치료 방법이 없어 '과수흑사병'으로 불린다.

도내에서는 2021년 208농가(97.1㏊), 2022년 88농가(39.4㏊), 2023년 89농가(38.5㏊)가 과수화상병 피해를 봤다.

☞공감언론 뉴시스 nulha@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