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북부 과수화상병 잇따라…"올들어 49농가 15.8㏊ 피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충북 북부지역에서 과수화상병이 잇따르고 있다.
11일 도에 따르면 충주시 주덕읍 과수농장 2곳과 신니면·용산동 각 1곳, 제천시 봉양읍 1곳에서 과수화상병이 추가 발생했다.
이로써 지난달 12일 충주시 용탄동 사과농장에서 올해 첫 과수화상병이 발생한 이후 도내 누적 피해는 8개 시군 49개 농가 15.8㏊로 늘었다.
도내에서는 2021년 208농가(97.1㏊), 2022년 88농가(39.4㏊), 2023년 89농가(38.5㏊)가 과수화상병 피해를 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주=뉴시스] 이도근 기자 = 충북 북부지역에서 과수화상병이 잇따르고 있다.
11일 도에 따르면 충주시 주덕읍 과수농장 2곳과 신니면·용산동 각 1곳, 제천시 봉양읍 1곳에서 과수화상병이 추가 발생했다.
이로써 지난달 12일 충주시 용탄동 사과농장에서 올해 첫 과수화상병이 발생한 이후 도내 누적 피해는 8개 시군 49개 농가 15.8㏊로 늘었다. 전국 발생 면적(85농가·30.6㏊)의 51.6%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충주 30곳(11.5㏊), 음성 7곳(0.97㏊), 제천 6곳(2.32㏊), 진천 2곳(0.12㏊), 청주(0.15㏊)·증평(0.01㏊)·단양(0.5㏊)·괴산(0.23㏊) 각 1곳이다.
농정당국은 발생 농장에 대해 출입 제한 조치를 내리고 감염나무 제거와 매몰 처리 작업을 하고 있다. 현재까지 38곳에서 13.01㏊ 매몰을 마쳤다.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발생농가 바이러스 유입 경로를 역학조사하는 한편 인접 시군에 대한 예찰도 강화하고 있다.
과수화상병은 과일나무가 세균에 감염돼 잎이나 줄기, 꽃, 열매 등이 불에 타 화상을 입은 것처럼 갈색으로 변하다가 고사하는 병이다. 전염성이 강하고 별다른 치료 방법이 없어 '과수흑사병'으로 불린다.
도내에서는 2021년 208농가(97.1㏊), 2022년 88농가(39.4㏊), 2023년 89농가(38.5㏊)가 과수화상병 피해를 봤다.
☞공감언론 뉴시스 nulha@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손연재, 마카오로 떠난 가족여행 공개 "'엄마' 소리에 감격"
- 이민정 "♥이병헌, 초면인 김우빈과 나만 두고 잠들어"
- 19억 당첨된 복권 세탁기 넣고 돌린 남성…반전에 반전
- '170㎝·41㎏' 최준희, 속옷만 입고 뼈말라 몸매…개미 허리
- 김학래, 바람에 도박까지…임미숙과 이혼 위기
- 안정환 아내 이혜원, 화상 심각 "인간 베이컨 됨"
- 추영우 "세종대 입학 취소돼 재수…세상 무너진 것 같았다"
- '꽁꽁 언 내수 녹인다' 1人 최대 52만원 소비쿠폰·29조 지역화폐 인센[李정부 첫 추경]
- 'AV여배우 만남' 주학년, 성매매 혐의 피고발
- 이정, 연예계 은퇴 결심 후 문신 새겨 "故 서재호 사망 후 방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