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이전 위치두고 부산 기초지자체 경쟁 치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속도를 내면서 부산 기초지방자치단체들의 치열한 청사 유치전이 시작됐다.
부산에서 해양수산부 청사 유치경쟁에 본격적으로 나선 지자체로는 동구, 중구, 강서구 등이다.
이에 강서구의회는 지난 9일 채택한 '해양수산부 부산 통합 이전 촉구 건의문'을 통해 "해수부는 해운, 항만, 수산업 등 물리적 기반이 명확한 부처"라며 "항만 물류·해운 관련 핵심부서를 부산신항 인근에 우선 배치해 정책 집행의 현장성을 제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BIFC 남구·해양클러스터 영도구 등도 관심
[헤럴드경제(부산)=홍윤 기자]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속도를 내면서 부산 기초지방자치단체들의 치열한 청사 유치전이 시작됐다.
부산에서 해양수산부 청사 유치경쟁에 본격적으로 나선 지자체로는 동구, 중구, 강서구 등이다. 여기에 영도구, 남구 등도 잠재적인 경쟁자로 거론된다.
부산 동구는 북항재개발지구와 교통접근성을 내세워 유치전에 나섰다. 김진홍 동구청장은 지난 10일 성명서를 내고 “해운과 항만 중심지인 북항에 해수부 청사를 이전해야 한다”고 밝혔다.
북항재개발 1단계 지역 내 이미 공공기관 입주를 목적으로 조성된 공공 포괄 용지가 있는 데다 해양수산부가 소유권을 가진 복합항만지구도 동구에 있어 이전에 속도를 낼 수 있다는 것이 김 청장의 설명이다. 여기에 부산역과 맞닿아있어 행정부처가 몰려 있는 서울이나 세종을 오가기 좋고 가덕도 신공항과 부산역을 잇는 BuTX선도 계획돼 있는 등 높은 교통 접근성도 강점으로 꼽힌다.
강서구는 부산신항, 가덕도신공항, 조선기자재 업체 등이 밀집해 해양수산부의 항만·물류·해운·조선 등 관련 업무와의 시너지가 기대된다. 이에 강서구의회는 지난 9일 채택한 ‘해양수산부 부산 통합 이전 촉구 건의문’을 통해 “해수부는 해운, 항만, 수산업 등 물리적 기반이 명확한 부처”라며 “항만 물류·해운 관련 핵심부서를 부산신항 인근에 우선 배치해 정책 집행의 현장성을 제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에코델타시티 등 신도시가 조성되고 있어 이전 부지 및 정주여건 마련도 비교적 쉬울 것으로 보인다.
중구도 부산항만공사, SM상선, 팬스타그룹 등 주요 항만·해운기업의 본사가 있다는 점과 영도구 해양클러스터와 동구 부산역 및 북항재개발지구를 잇는 입지를 내세워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부산 중구의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도 이 같은 내용을 담아 ‘해양수산부의 조속한 부산 이전 강력 촉구 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 외에 남구도 신선대부두, 해양산업 클러스터가 조성되는 우암부두 등 해양 관련 인프라와 함께 해양 분야에 강점이 있는 국립부경대가 있어 해양정책 수립 협력이 가능하다는 점을 내세워 유치전에 나설 전망이다. 특히 부산국제금융센터(BIFC)도 남구에 있어 금융산업과의 시너지나 쾌적한 정주여건 등도 강점으로 내세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도구 또한 해양수산부 산하 연구기관이 밀집한 해양클러스터의 입지로서 정책수립 및 실행 간의 연계성을 앞세워 유치전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영도구의회는 회기가 돌아오는 다음 달이 돼서야 해수부 부산 이전 결의문에 대한 논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정식 측 “명예와 신뢰에 심각한 훼손…해당 교사에게 5,800만원 지급한 사실 없다”
- 전한길 “내 뒤에 美·日 있어…나 건드리면, 트럼프 정부에 알릴 것”
- ‘학폭 논란’ 르세라핌 김가람, 연예계 복귀 움직임
- 美추방? ‘한심좌’도 못 피했다…1.6억명 틱토커의 최후
- 세븐틴 승관, 고향 제주 세계기록유산 보존 위해 2000만 원 기부
- “동선 겹친 건데 짐승처럼 제압” 아이돌 과잉 경호 피해자의 항변
- “채권자는 김수현”…‘가세연’ 김세의 아파트 2채 가압류
- ‘방송 재개’ 주호민 “비꼬는 댓글 많지만”…특수교사 2심 무죄 반박
- 아이돌서 페인트공 변신…“성수기엔 월 1500만원 번다”
- “딸 인생 걸고 맹세”…홍진경, 정치색 논란 재차 해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