닷새 째에… 제주 ‘쓰레기 대란’ 최악 국면 피했다
11일 오전 7시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쓰레기 반입 재개
제주도 “녹취록 청취 결과 신빙성 있어” 동복리“도정 신뢰”
마을회 “상생협의체 통해 향후 마을발전사업 도와 협의 추진”
나흘째 진입로가 봉쇄됐던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폐기물 처리시설) 쓰레기 반입이 제주도와 동복리마을회간 극적 합의로 11일 오전 7시부터 재개돼 ‘쓰레기 대란’ 국면을 피하게 됐다.
제주도는 11일 도청기자실에서 동복리마을회와 공동으로 기자회견을 열고 쓰레기 처리 정상화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강애숙 제주도 기후환경국장은 기자회견에서 “향후 동복리와 전문가로 구성된 상생협의체를 통해 향후 마을발전사업을 적극 지원하겠다”며 “이날 오전 7시부터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진입로 봉쇄를 풀고 쓰레기 반입을 정상화했다”고 밝혔다.
지난 9일부터 협상 줄다리기를 해왔던 도와 동복리는 대화를 통해 지난 10일 오후 10시 30분쯤 극적 합의를 하고 닷새 째 진입로 봉쇄를 풀기에 이르렀다.
강 국장은 이날 합의문을 통해 “제주도와 동복리는 폐기물처리시설을 활용하여 농경지 폐열사업에 상응하는 동복리 발전사업을 하기로 했으며 마을 발전사업을 하기 위해 동복리와 제주도·전문가 집단이 참여하는 상생협의체를 구성하여 운영한다”면서 “제주도는 마을 발전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동복리는 대승적 차원에서 지난 7일부터 진행해 온 환경자원순환센터 진입로 봉쇄를 풀고 원활한 쓰레기 처리에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이로써 동복리가 폐열 지원 사업 이행 등을 요구하며 환경자원순환센터 진입로 봉쇄 집회에 나선지 닷새 만에 정상화가 이뤄지면서 쓰레기 대란 고비를 넘기게 됐다.
동복리 주민들은 농경지 폐열 지원사업 이행 등을 요구하며 지난 7일부터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의 진입로를 봉쇄하고 무기한 농성을 벌여왔다.
2019년 12월 말 준공한 환경자원순환센터는 약 15만㎡의 면적에 242만㎥를 수용할 수 있는 매립시설과 하루 500t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소각시설을 갖추고 있다.
도내 쓰레기 발생량의 90%를 처리하는 센터의 일일 쓰레기 반입량이 350~400t 수준으로, 사흘째 차량 반입로가 막히면서 막대한 양의 쓰레기가 처리되지 못한 상황이었다. 나흘째 쓰레기 도외 반출에 따른 비용은 3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갈등은 폐열 활용사업을 놓고 제주도와 동복리 간 입장 차에서 비롯됐다. 폐열 활용사업 아이디어는 2014년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에 따른 협약서 체결 이후인 2015년 마을과의 대화시 협약에 포함되지 않은 사업이나 동복리가 제주시에 제안해 검토를 시작했다.
2018년 해당 사업의 진행을 요구하는 마을과 협의해 2019년부터 2020년까지 폐열 활용 사업 타당성 검토 용역을 실시한 결과 사업 추진 타당성이 부족하다는 결과를 2020년 12월에 동복리와 북촌리에 설명했다.
이어 2024년 11월 동복리의 폐열사업 가능 여부 검토 요청에 대해 검토한 결과 현재 폐열은 주민지원시설인 ‘해돋이 힐링센터’로 공급되고 있어 사용 가능한 폐열 부족으로 사업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마을에서 밝힌 폐열 활용사업 타당성 부족시 그에 상응하는 사업을 약속했다는 내용과 관련해 동복리는 2018년 12월 당시 폐열 활용사업의 타당성이 부족할 경우 그에 상응하는 사업을 도에서 시행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도는 그러한 약속 사실을 확인못했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지난 9일 동복리 마을회 관계자는 “2018년 협의 당시 녹취 파일을 가지고 있다”며 “오영훈 제주지사가 마을을 방문하면 공개하겠다”는 입장이었다.
이와 관련 강 국장은 “지난 9일부터 진행된 마을회와 협상과정에서 녹취록을 청취했는데 상당히 신빙성이 있다고 판단했다”며 “마을회가 요구하는 대체사업을 상생협의체를 통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김병수 동복리장은 “협상 과정에서 도정에 대한 믿음(진정성)이 생겼다. 앞으로 환경자원순환센터 운영 관련해 동복리도 최대한 협조하겠다”며 어떤 발전사업을 할지는 상생협의체를 통해 도정과 협의하며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 뒤 오영훈 지사와 면담을 한 김 이장은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가 혐오시설이 아니라 친환경 시설로 운영되도록 도정에서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동복리 주민들도 센터 운영에 대해 많은 애정과 관심을 갖고 있는 만큼, 앞으로 마을발전을 위해 제주도와 더욱 적극적으로 소통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오영훈 지사는 “동복리 마을에서 내부 의견수렴을 거쳐 결정한 사안들에 대해 제주도가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은 최대한 뒷받침할 것”이라면서 “상생협의체에서 마을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들이 제시될 수 있도록 힘껏 돕겠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일이 빨리 마무리돼 다행이고,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 앞으로 더 많은 준비를 해야 한다. 환경기초시설이 위치한 지역주민들과의 소통과 협력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제주도와 지역주민 간 상생협력 모델이 교과서에 실릴 정도의 모범사례가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제주 강동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럽스타그램? 男아이돌·女배우 열애설에… 양측 모두 “사실 아냐”
- 수지, 반쪽 됐다… 충격적인 체중 관리 근황
- ‘자산 1000억원대’ 장사 천재, 돈 쓸어담은 비책 공개
- 이국주, 버스서 무차별 폭행 당했다…“머리를 내려찍어”
- 신혼여행 중 시신으로 발견된 남성…경찰에 자수한 아내, 도대체 왜
- 박소담, 박원숙 손녀였다…“현장서도 모른 척해”
- “길바닥 나앉게 생겼다”…김영희, ♥10세 연하 남편 카드빚에 ‘한숨’
- ‘54세’ 최성국 “24세 연하 아내, 둘째 임신” 깜짝 발표
- 남친과 휴가 마치고 돌아온 女 “내 집에 반나체男이…” 경악한 사연
- 야산서 숨진 채 발견된 직원… 7억대 횡령 사건 벌어진 사천 한 농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