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하는데 어려운 척 '생계급여' 받아…나랏돈 1천억 줄줄 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발생한 공공재정 부정수급이 총 1000억원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권익위원회는 11일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등 309개 기관을 대상으로 공공재정 부정수급에 대한 '2024년도 환수 등 제재처분 이행관리 실태점검 결과', 309개 공공기관의 총 16만2042건의 부정수급에 대해 1042억원을 환수 결정하고 288억원의 제재부가금을 부과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발생한 공공재정 부정수급이 총 1000억원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권익위원회는 11일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등 309개 기관을 대상으로 공공재정 부정수급에 대한 '2024년도 환수 등 제재처분 이행관리 실태점검 결과', 309개 공공기관의 총 16만2042건의 부정수급에 대해 1042억원을 환수 결정하고 288억원의 제재부가금을 부과했다고 밝혔다.
주요 부정수급 사례로는 △위장이혼으로 재산을 숨기거나 타인 명의로 사업체를 운영하며 소득을 숨겨 생계급여와 주거급여를 편취한 사례 △실제 근무하지 않는 인원을 허위로 등록하거나 이면계약서를 작성해 급여 일부를 돌려받아 청년일자리창출지원금을 착복한 사례 △복수의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선정된 후 장비구매 영수증을 중복 제출해 연구개발비를 편취한 사례 등이 있었다.
공공재정지급금의 유형별 환수현황 등을 살펴보면, 생계급여에서 약 267억원이 환수 결정돼 가장 금액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주거급여 122억원, 사회보험료지원금 92억원 순이었다. 환수액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공공재정지급금은 격리치료비 및 생활지원비로 27억원을 환수해 전년 대비 약 415%(22억 원)가 늘어났다. 교육지원금은 전년 대비 약 282%(16억 원) 늘어난 22억 원이 환수됐다.
공공재정지급금을 집행하는 기관유형별 환수현황 등을 살펴보면, 각종 복지급여, 지방투자촉진지원금 등을 집행하는 기초자치단체가 가장 많은 637억 원(61.1%)을 환수했다.
제재부가금 규모가 가장 큰 공공재정지급금은 청년일자리창출지원금으로 제재부가금 71억원이 부과됐다. 연구개발비 관련도 41억원, 포상금 관련 13억원이 각각 부과된 것으로 나타났다. 제재부가금 부과는 중앙행정기관이 245억 원(85.1%)으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연구개발 및 고용촉진 관련 법령에 제재부가금 부과 근거가 잘 마련돼 있고 부정수급에 대한 점검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명순 권익위 부위원장은 "공공재정환수법이 시행된 지 6년 차에 접어들면서 부정수급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엄정한 환수 및 제재 체계가 확립되어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국민권익위는 상시적인 점검을 통해 어디에서 공공재정이 새어 나가고 있는지 공공기관이 이에 대한 제재조치를 제대로 이행하고 있는지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유효송 기자 valid.song@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이국주, 버스서 자리 양보한 노인이 성희롱…"미친 듯이 뛰었다" - 머니투데이
- "남편 사망 죄책감" 고백했던 정선희…"돈 벌면 남이 다 써" 덤덤 - 머니투데이
- "먹고 살려면" 이천희, 가구업체서 일하는 근황…20시간 밤샘 노동 - 머니투데이
- 박소담, 박원숙 손녀였다…"촬영장서 모른 척" 왜 숨겼나 - 머니투데이
- 이건주, 입양 간 친동생과 눈물 재회…"18년 전 오해로 멀어져" - 머니투데이
- "얼굴 똑같아" 보자마자 가까워진 절친…결국 진실 털어놓은 中 부모 - 머니투데이
- 이스라엘군 "이란, '집속탄' 탄도미사일 공격…이런 형태는 처음" - 머니투데이
- "가정사 알고 고등생 때 음주·외상"…아들 절연 이유 고백한 여배우 - 머니투데이
- 5000만원 이하 빚 7년 못갚은 113만명, 100% 빚 탕감 받는다 - 머니투데이
- 4년전 3천피 이후 개미 "반토막" 비명…그 악몽 다시 안 겪으려면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