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2명 원하지만"… 한국, '경제 부담에 출산 포기' 58%로 1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출산을 원하지만 현실적인 제약으로 자녀를 갖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내용의 유엔 보고서가 발표됐다.
특히 한국은 경제적 이유로 출산을 포기했거나 그럴 계획이라는 응답자 비율이 조사 대상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전반적인 출산율은 하락세임에도 불구하고 응답자 대다수는 자녀를 두 명 이상 원한다고 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이소원 인턴 기자 = 출산을 원하지만 현실적인 제약으로 자녀를 갖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내용의 유엔 보고서가 발표됐다. 특히 한국은 경제적 이유로 출산을 포기했거나 그럴 계획이라는 응답자 비율이 조사 대상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일(현지시각) 유엔인구기금(UNFPA)과 여론조사기관 유거브(YouGov)가 공동 발표한 '2025년 세계 인구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독일·이탈리아 등 저출산 국가와 나이지리아 등 출산율이 높은 국가를 포함한 14개국의 성인 남녀 1만 4000명을 대상으로 출산 계획에 대한 온라인 설문 조사가 진행됐다.
조사 결과, 전반적인 출산율은 하락세임에도 불구하고 응답자 대다수는 자녀를 두 명 이상 원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이들 중 상당수는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이상적인 자녀 수를 실현하지 못했거나 앞으로도 그럴 수 없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출산 가능한 연령대(18~49세) 중 18%는 바라는 만큼 자녀를 갖지 못할 것이라 했고, 11%는 이상보다 적은 수의 자녀만 갖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출산 연령을 지난 50세 이상 응답자 중에서도 31%가 결과적으로 원했던 자녀 수보다 적게 낳았다고 밝혔다.
출산을 가로막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경제적 여건 부족'이 지목됐다. 전체 응답자의 39%가 재정 문제를 주요한 제약으로 들었으며, 한국에서는 이 비율이 58%로 가장 높았다.
이에 대해 나탈리아 카넴 UNFPA 사무총장은 "문제는 출산 의지가 아니라, 출산을 선택할 수 있는 여건이 부족한 것"이라며 "유급 육아휴직, 저렴한 난·불임 치료, 배우자의 육아 참여 같은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ometrue@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손연재, 마카오로 떠난 가족여행 공개 "'엄마' 소리에 감격"
- 이민정 "♥이병헌, 초면인 김우빈과 나만 두고 잠들어"
- 19억 당첨된 복권 세탁기 넣고 돌린 남성…반전에 반전
- '170㎝·41㎏' 최준희, 속옷만 입고 뼈말라 몸매…개미 허리
- 김학래, 바람에 도박까지…임미숙과 이혼 위기
- 안정환 아내 이혜원, 화상 심각 "인간 베이컨 됨"
- 추영우 "세종대 입학 취소돼 재수…세상 무너진 것 같았다"
- '꽁꽁 언 내수 녹인다' 1人 최대 52만원 소비쿠폰·29조 지역화폐 인센[李정부 첫 추경]
- 'AV여배우 만남' 주학년, 성매매 혐의 피고발
- 이정, 연예계 은퇴 결심 후 문신 새겨 "故 서재호 사망 후 방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