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크리에이터] 잊힌 ‘검은 황금의 도시’ 문화예술 도시로 다시 숨 쉬다

조은별 기자 2025. 6. 11. 05: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로컬크리에이터] (43)탄탄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 김신애 이사장
사라진 탄광의 역사, 기록으로 되살려
철거 앞둔 광부 아파트, 사진으로 남겨
지역 공간 활용한 전시·예술 축제 개최
마을 곳곳에 작품 설치…관람객 발길
청소년 대상 예술교육 확장으로 이어져
“지역고유성 살려 로컬의 가치 키우고파”
김신애 ‘탄탄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이 강원 태백에서 기획한 미술전 ‘비엔날레 날땅’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검은 황금’을 캐기 위해 전국에서 사람이 모여들던 도시, 강원 태백. 석탄 덕분에 1981년 ‘시’로 승격되기도 했지만, 석유·가스가 그 자리를 대신하면서 서서히 광업이 힘을 잃었다. 지난해엔 이 도시의 마지막 탄광인 장성광업소가 문을 닫았고, 도심 곳곳에 남은 석탄공사의 옛 건물과 검은 폐석 더미가 그 시절을 드러낸다. 태백에는 이 흔적을 좇아 문화예술로 되살리는 이가 있는데, 바로 ‘탄탄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의 김신애 이사장(42)이다. 그는 복합문화공간 ‘무브노드’ 대표도 맡고 있다.

태백에서 나고 자란 김 이사장은 20대에 일자리를 찾아 고향을 떠났다. 서울 등지에서 게임 개발자로 바쁘게 살다 위기 청소년을 도와 함께 게임을 만들면서 삶의 방향이 바뀌었다. 돈과 기술보단 사람과 어울리는 일을 하고 싶어진 그는 고향으로 돌아와 주민과 지역을 만나기 시작했다.

“태백엔 최초의 광부 아파트 ‘화광아파트’가 있었어요. 주변 사람을 데려가면 무척 신기해하더라고요. 그 모습을 보다보니 저도 ‘건물 내부는 어떠려나’ 호기심이 생겨서 기록을 시작했죠.”

태백 최초의 광부 아파트인 ‘화광아파트’에서 한 인부가 석탄을 나르는 모습을 담은 사진(이혜진 작가).

2019년 김 이사장은 그해 철거를 앞둔 화광아파트를 기억하기 위해 ‘찰칵 원정대’를 꾸렸다. 태백 주민을 비롯한 여러 활동가가 원정대에 참여해 건물 안팎을 사진에 담았다. 집집마다 아랫목을 데우는 연탄보일러가 남아 있는 게 눈에 띄었다. 한 거주민은 “낡고 불편해도 태백의 역사가 쌓인 내 터전이니 이곳에서 계속 살고 싶다”고 말하기도 했다. 김 이사장의 작업에 공감한 태백 광부 출신 홍영식 활동가는 이후 주민과 아파트의 마지막을 추모하는 장례식을 열었다. 관 대신 아파트 모형을 멘 상여꾼들이 건물 주변을 돌며 행진했고, 그 모습은 다큐멘터리로도 제작됐다. 상영회에선 일부 주민이 실제 장례식에 온 것처럼 엉엉 소리 내 울기도 했다.

화광아파트 세대마다 놓여 있던 연탄보일러 시설.

마을 주민과의 추억이 쌓이자 기록의 범위는 더 넓어졌다. 김 이사장은 사진가·화가 등 다양한 예술가와 힘을 모아 주민 인터뷰 ‘반짝반짝 빛나는’을 진행했다. 장성마을 주민 30명에게 인생에서 가장 빛나던 순간을 묻자 예상 밖의 대답이 돌아왔다. 한창 광업으로 돈을 벌던 호황기보다 처음 일을 시작한 때나 옆집 강아지가 새끼를 낳은 순간 등을 답하는 이들이 많던 것이다. 그중엔 규폐증 환자를 돌본 간호사 김수경씨와 24년 동안 화광아파트에 살던 주민 권오연씨가 있었다. 권씨는 “남편은 15년, 아들은 10년을 광업소에서 일했다”며 “매일 밤 아들이 살아 돌아오길 기도했는데, 그 기도가 통했는지 사고가 났을 때도 아들이 무사히 집으로 왔다”고 회상하기도 했다. 프로젝트에서 촬영을 맡은 들꽃사진관의 이혜진 작가는 “주민과 나눈 교감을 잊지 못한다”며 “가장 예쁜 순간을 담아줘 고맙다는 말에 ‘내 길을 잘 고른 것 같다’는 확신까지 들었다”고 소감을 남겼다.

태백 도심에 남은 광업 관련 시설 중 한곳인 석공마트. 석공은 ‘석탄공사’의 준말이다.

이제 김 이사장은 태백에 문화예술의 씨앗도 심는다. 2023년엔 2년마다 열리는 미술전 ‘비엔날레 날땅’, 지난해엔 지역 감수성을 담은 전시·판매 행사 ‘로컬 디자인페어’를 열었다. 비엔날레 날땅엔 기비안·신민·정희우·채정은·황재순·황하늬 작가가 참여해 주민들이 흔쾌히 내준 마을의 공간을 채웠다. 특히 많은 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남긴 작품은 기비안 작가의 설치미술 ‘나의 허파꽈리’다. 들숨과 날숨 소리에 맞춰 빛이 커졌다 작아지는 조형물로, 작품 표면에 점점이 그려진 흑연이 마치 탄가루처럼 보인다. 한 광부 출신 주민은 한참을 그 작품 앞에 앉아 있기도 했다. 전시는 어린이 관람객 368명과 성인 관람객 1000여명이 찾으며 막을 내렸다.

비엔날레 날땅에서 깊은 울림을 남긴 기비안 작가의 설치미술 ‘나의 허파꽈리’. 태백=강재훈 프리랜서 기자

전시는 끝났지만 지역과 나누는 소통은 계속된다. 비엔날레 날땅에 참여한 작가는 태백 청소년을 대상으로 예술 교육을 하며 인연을 이어간다. 지난해엔 학생 60여명이 교육을 받았다. 한 학생은 김 이사장에게 “예전엔 아무 생각 없이 전시를 봤다면 지금은 ‘이 작품엔 어떤 의미가 담겼을까’를 고민하게 됐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김 이사장은 “아이들이 예술에 질문을 던지기 시작한다”며 “이런 경험이 쌓여서 작품을 보는 눈이 생기는 것 같다”고 흐뭇해했다.

“예전엔 지역의 ‘결핍’을 강조하며 지원을 요청하곤 했어요. 그런데 지역이 곧 나라고 생각해보니, 자꾸 부족함만 말하는 나를 누가 좋아할까 싶더라고요. 이제는 결핍보다 고유성을 먼저 말합니다. 로컬크리에이터라면 그래야 하지 않을까요.”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