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가 부정의의 알리바이 되지 않으려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석탄발전은 멈춰도 우리 삶은 멈출 수 없다."
발전소 노동자들과 시민들이 2025년 5월31일 석탄화력발전소가 밀집한 충남 태안에서 공공재생에너지로의 신속한 전환과 발전노동자 고용 보장을 요구하는 대행진을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석탄발전은 멈춰도 우리 삶은 멈출 수 없다.”
발전소 노동자들과 시민들이 2025년 5월31일 석탄화력발전소가 밀집한 충남 태안에서 공공재생에너지로의 신속한 전환과 발전노동자 고용 보장을 요구하는 대행진을 했다.
무대에 오른 김영훈 공공운수노조 한전케이피에스(KPS)비정규직지회장은 “태안 석탄화력발전소 노동자들은 기본 10년에서 20년씩 일했다. 퇴근 뒤엔 태안 시내의 순댓국밥집, 감자탕집, 술집 등 맛집이란 맛집은 다 찾아다닌다. 단골이 아닌 집이 없다”며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지역을 떠나고 싶지 않다. 우리 삶과 내 가족을 지키면서 여기 계신 주민들과 함께하고 싶다”며 태안에서 계속 일하고 싶다는 소망을 밝혔다.
한 노동자 가족은 ‘발전노동자의 삶을 지켜야 내 딸도 잘 살 수 있다’(발전노동자를 사위로 둔 장모), ‘내 남편은 쓰다가 버려도 되는 소모품이 아니다’(발전노동자 아내), ‘사위! 힘내게 나도 응원하겠네’(발전노동자 장인)라는 글이 적힌 손팻말을 들고 행진했다. 2025년 폐쇄를 앞둔 태안 1호기 노동자 가족이다.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해 앞으로 10년 동안 전국 28기 석탄화력발전소가 폐쇄된다. 정부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2036년까지 59기 석탄화력발전소 가운데 28기를 폐쇄하고 이를 액화천연가스(LNG)발전소 등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발전사들이 직무 전환 등 재배치가 불가능하다고 분류한 인력만 2천 명이 넘어선다. 당장 2025년에만 태안 1호기 폐쇄로 노동자 48명이 일자리를 잃을 전망이다. 정규직 발전사 노동자들은 전환 과정에서 고용을 유지할 수 있지만, 발전소 정비나 석탄 처리·운송 등을 주로 맡는 협력사 소속 하청 노동자들은 직무 전환이 어려워 일자리를 잃을 가능성이 크다. 김 지회장은 “정의로운 전환이 될 수 있도록 탈석탄법뿐만 아니라 석탄화력발전소 폐지 및 폐지 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안에도 관심을 가져달라”고 말했다.
또한 대행진 참가자들은 성명서를 통해 “재생에너지 대부분을 사기업이 소유하고 있다. 해상풍력단지의 92.8%는 에너지 재벌과 해외 투기자본 등이 차지하고 있다”며 “이렇게 가다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재생에너지 전환이 에너지 민영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의로운 전환 2025 공동행동’은 6월 말부터 재생에너지 민영화를 막기 위해 발전노동자들과 연대해 ‘공공재생에너지 확대 국민입법청원 운동’을 할 예정이다.
사진·글 태안(충남)=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Copyright © 한겨레2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 1분에 780번 도는 칼날, 끼임 위험에 그대로 노출…태안화력발전 사고 현장
- [단독]한전KPS, 동료 ‘끼임’ 사망 목격 이틀 뒤 ‘작업 재개’ 통보
- 이재명 대통령 당선자 “평범한 시민의 나라… 증오·혐오 말고 통합할 것”[당선 소감 전문]
- 이재명과 우원식의 개헌, 새 정부에서 이뤄질까?
- “나는 계몽되었다”고 말하는 한국 극우, 외래종 아닌 자생종
- ‘대한민국’이 도망간 자리에 참전군인 류진성이 선 이유
- ‘사이다’ 행정가에서 ‘내란 종식’ 대통령 되기까지…이재명이 걸어온 길
- 점수, 1등, 위만 보던 ‘소도시 문제풀이 능력자’의 끝
- 그 혁명가는 왜 일제의 밀정이 되었나
- 문학이 타오르듯 ‘좋은 정치’도 타오르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