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LA 시위 격화, 재외국민 피해 없도록 선제 대응해야

2025. 6. 10. 00: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불법 체류자 단속으로 촉발된 로스앤젤레스(LA) 시위가 심상치 않다.

LA는 재외국민이 많고 한국인 관광객이 자주 찾는 곳인 만큼, 정부가 국민 보호를 위한 비상 대응체계 구축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LA 시위는 이민자들이 연방정부 단속에 반발하는 과정에서 시작됐다.

LA는 연방정부 차원의 불법 체류자 추방에 반대하는 피난처 도시(sanctuary city)였기 때문에, 단속을 예상하지 못한 이민자들의 반발이 더욱 거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8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도심에서 한 여성이 미 연방정부의 이민자 단속에 반대하며 멕시코 국기를 흔들고 있다. 로스앤젤레스=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불법 체류자 단속으로 촉발된 로스앤젤레스(LA) 시위가 심상치 않다. LA는 재외국민이 많고 한국인 관광객이 자주 찾는 곳인 만큼, 정부가 국민 보호를 위한 비상 대응체계 구축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CNN 등에 따르면 LA경찰국(LAPD)은 8일 도심에서 일어나는 모든 시위를 ‘불법 집회’로 규정하고 “폭력행위는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위대가 고속도로를 점거하거나 자율주행차량(웨이모)에 불을 지르는 장면도 목격됐다. 경찰은 시위대 해산을 위해 최루탄, 고무탄, 섬광폭음탄을 사용하는 중이다.

LA 시위는 이민자들이 연방정부 단속에 반발하는 과정에서 시작됐다. 연방기관인 이민세관단속국(ICE)이 6일 LA 대형마트를 급습해 불법 체류자를 체포했고, 다음 날엔 연방요원들이 빌딩을 수색하며 서류를 갖추지 않은 이민자를 잡아갔다. 이민자들이 조직적으로 저항하면서 대규모 경찰력이 투입됐다. LA는 연방정부 차원의 불법 체류자 추방에 반대하는 피난처 도시(sanctuary city)였기 때문에, 단속을 예상하지 못한 이민자들의 반발이 더욱 거셌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지사 요청 없이 시위 현장에 주방위군을 투입하면서 연방정부와 주정부 사이 갈등도 커졌다. 군대 투입이 시위대를 자극해 사태 악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 대통령이 내정 불만을 밖으로 돌리기 위해 일부러 갈등 수위를 높인다는 분석도 나온다.

'흑인 목숨도 중요하다'(BLM) 시위에서 보았듯이, 미국에선 경찰의 과잉진압이나 경제적 차별에서 시작된 불만이 종종 대규모 폭력사태로 번졌다. 특히 LA는 1992년 ‘로드니 킹 사건’에서 시작된 흑인 폭동으로 한인 사회가 매우 큰 피해를 본 곳이다. 재외국민이 다수 체류하는 LA의 특성상 한국 정부가 사태 추이를 면밀히 살펴 국민 보호에 필요한 조치를 먼저 준비해야 한다.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현지 영사 기능을 강화하고 신속한 정보 제공, 비상 연락망 체계 점검에도 나서야 한다.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