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심해지는 폭염…온열질환 5년새 4배
해마다 여름철 폭염이 극심해지면서 온열질환자가 5년 만에 4배로 증가했다.
26일 소방청의 ‘폭염 대응 구급활동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온열질환으로 인한 출동 건수는 2020년 686건에서 2021년 906건, 2022년 1153건, 2023년 2436건, 2024년 3164건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5년간 연평균 온열질환 출동은 1669건, 의료기관 이송 인원은 1475명에 달했다.
의료기관으로 이송한 환자도 2020년 646명에서 2024년 2698명으로 4배 넘게 늘었다. 이송 환자는 고령층이 많았다. 2024년 이송 환자는 52.3%가 60대 이상이었다. 지역별 고령층 환자 비율은 ▲경북 64.6% ▲경남 61.3% ▲서울 57.0% ▲전북 55.7% 등 순으로 높았다.
월별로는 8월에 출동한 건수가 1829건으로 가장 많았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12∼3시’와 ‘오후 3∼6시’가 각각 32.6%와 31.0%로 주를 이뤘다.
온열질환은 폭염에 장시간 노출됐을 때 발생하는 질환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대표적이다. 보통 두통과 어지러움, 피로감 등이 나타나지만 심하면 의식 저하와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소방청은 올여름 폭염에 따른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국 모든 119구급차에 폭염 대응 구급 장비를 비치한다. 얼음팩(조끼)과 소금, 물스프레이, 전해질용액 등이다.
구급차 출동이 어려우면 ‘펌뷸런스(Pumbulance)’가 출동해 온열질환자를 응급처치한다. 펌뷸런스는 소방펌프차(Pump)와 구급차(Ambulance)의 합성어로 자동심장충격기(AED) 등의 구급 장비를 갖추고 응급구조사 등 구급 자격자가 탑승한 소방펌프차를 의미한다.
유병욱 소방청 119구급과장은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철 폭염 피해가 더 이상 특정 시기에 국한되지 않고 장기화하고 있다”며 “햇볕이 강한 낮 시간대에는 야외 활동을 피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등 폭염 대비 국민 행동 요령을 실천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온열질환과 관련해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오늘건강’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어르신 맞춤 폭염 대응 요령을 안내한다. 이 앱은 보건소 기반의 건강관리 서비스로 어르신 약 12만명이 이용 중이다. 폭염 대응 요령은 기상 상황에 맞춰 이해하기 쉬운 그림 형태로 제공하며 오전 7시에 자동 발송된다.
한편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감시체계 신고 결과에 따르면 올해 5월15~21일 전국 517개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을 찾은 온열질환자는 누적 44명이다. 초여름 날씨를 보였던 21일에는 21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