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반 갈리는 행정수도 세종 이전...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먼저 [한국일보 여론조사]

김형준 2025. 5. 23. 04: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 공약과 정책
좌절됐던 '노무현의 꿈' 대선 화두로
이재명·김문수 모두 이전 공약했지만
"尹 용산 가듯 서둘러선 안 돼"
편집자주
경마식 여론조사의 한계가 뚜렷합니다. 한국일보는 지지율 숫자를 뽑아내는 데 그치지 않고, 대선의 의미, 후보 역량과 자질, 공약 평가 등을 심도 있게 살피고자 일간지 최초로 유권자 3,000명 규모의 대선 인식 '웹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총 5회 심층조사로 국민의 위대한 선택을 안내하겠습니다.
지난달 25일 세종시 세종동 국회세종의사당 건립 예정 부지. 세종=연합뉴스

'세종 행정수도'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10대 공약에 모두 포함돼 있다. 하지만 여론은 갈렸다. 찬성 응답이 많았지만, '반대'와 '모르겠다'를 합하면 55%의 응답자가 행정수도 이전에 회의적이거나 유보 입장을 밝혔다. 지역별로도 충청은 환영, 수도권은 반대가 우세했다. 사회적 공감대가 충분치 않은 만큼, 차기 정부가 신중하게 추진해야 할 사안으로 보인다.

한국일보-한국리서치 여론조사에서 대통령실과 국회를 세종시로 옮기는 행정수도 이전에 관한 찬반을 묻는 질문에 44%가 찬성했다. 반대는 33%, 모르겠다는 22%로 집계됐다. 찬성 응답이 더 많기는 하지만 여론이 어느 한쪽으로 수렴되지는 않았다.


충청·호남은 환영, 서울·인천은 냉랭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16일 세종시 국회의사당 이전부지를 방문, 대통령 집무실 건립 및 국회의사당 완전 이전 행정수도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그와 달리 지지 후보와 지역에 따라 입장차가 뚜렷했다. 이재명 후보 지지층에선 56%가 행정수도 이전에 찬성해 반대(23%)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반대로 김문수 후보 지지층에선 찬성 31%, 반대 53%로 나타났다.

이념성향에 따른 응답도 대조적이었다. 진보의 경우 58%가 찬성, 25%가 반대했다. 보수 응답자는 찬성 38%, 반대 46%로 집계됐다. 중도 성향은 찬성 41%, 반대 31%였다. 행정수도 이전이 '노무현의 꿈'을 실현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투영된 셈이다.

세종시와 인접한 지역의 유권자일수록 찬성 비율이 높았다. 수도 이전에 따른 반사이익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충청·강원에서 각각 58%로 찬성 비율이 가장 높았고 호남·제주(51%)가 뒤를 이었다. 경기에서는 42%가 찬성했다. 반면 서울과 인천은 찬성이 각각 35%에 그쳤다. 연령별로는 18세~29세(49%)와 30대(47%) 순으로 행정수도 이전 찬성 비율이 높았다. 반대로 70세 이상 응답자는 37%만 찬성한다고 답했다.

그래픽=신동준 기자

누가 되든 액션 플랜부터 명확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2022년 세종시에서 열린 유세에서 서명한 세종시 발전 공약을 들고 있다. 고영권 기자

전문가들은 차기 대통령이 사안에 관한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액션 플랜'을 명확히 짜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형준 성균관대 행정학과 교수는 22일 "일단 대통령실 이전을 하더라도 제2집무실을 설치한 뒤 헌법 등에 맞게 요건을 갖추는 쪽으로 계획을 짜야 할 것"이라며 "세종시 인근 공항이 청주공항뿐인데 시설이나 보안상 문제가 없는지 등도 충분히 검토한 뒤 행정수도 이전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행정수도 이전은 과거 헌법재판소가 위헌 결정을 내린 사안인 만큼, 법리적 검토와 개헌에 공을 들여 혼선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박정수 이화여대 행정학과 교수는 “행정수도 이전 사안은 대선 이슈로만 다룰 게 아니고, 어느 후보든 당선 이후 개헌 이슈로 함께 논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며 “이전하더라도 너무 빠르게 진행된 대통령실 용산 이전 과정에서 사회적 비용과 갈등이 얼마나 컸는지를 돌아보고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각물_여론조사 방법

 

■ 회차순으로 읽어보세요

  1. ① 보수도 "명태균·김건희특검 둘 다 추진해야"... '김문수 강경 지지층만' 반대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210520000430)
  2. ② 버림받은 '尹의 용산'... 민심 절반 차기 대통령 첫 집무실로 청와대 원해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109360003167)
  3. ③ 차기 대통령 임기는 '5년' 선호... 개헌은 내년 34%, 3년 뒤 28%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116300000658)
  4. ④ 차기 정부 '미중 균형 외교' 추구해야 65%... '미국 우선'은 23%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123110000100)
  5. ⑤ 71%가 지지한 검찰개혁은 '시기의 문제'... 공수처 존폐는 팽팽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123030000842)
  6. ⑥ 찬반 갈리는 행정수도 세종 이전...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먼저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215020003036)
  7. ⑦ '선택적 모병제' 71% 찬성, '기본소득'은 39% 그쳐... 국민이 원하는 대선 공약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215340005012)

 

김형준 기자 mediaboy@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