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새벽부터 기다렸어요”… 中 재외투표 첫날, 투표 열기 ‘후끈’
첫날 오전 250여명 투표 완료 추산
“교민 줄었지만 투표율은 상승 추세”
“아침 7시 30분(현지시각)에 투표장에 도착해 문이 열리기를 기다렸어요. 2012년부터 매번 재외국민 선거에 참여했는데, 일찍부터 서두른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제21대 대통령 선거 재외국인 투표가 20일 시작한 가운데, 중국 베이징에서 가장 먼저 투표장에 입장한 서만교 북경한인회장은 “혼란스러운 상황이 얼른 마무리되길 바라는 마음”이라면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중국과의 관계가 어려운 상황이고 교민 생업과 기업도 경영 환경이 좋지 않아, 하루빨리 양국 관계가 개선되고 교민들의 생업 환경도 나아지길 바란다”며 차기 정부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6·3 대선을 2주 앞둔 이날 세계 각국에서 재외국민 투표가 시작됐다. 주중한국대사관이 있는 베이징에서는 이날부터 25일까지 총 6일간 매일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사전 신청자를 대상으로 투표가 진행된다.
이날은 출근 전 투표를 하려는 교민 20여명이 오전 7시 30분쯤부터 투표장 문이 열리기를 기다리기도 했다. 오전 10시 50분쯤엔 베이징 코리아타운이 있는 왕징에서 약 30명의 교민을 태운 단체 버스가 도착했다. 교민들은 ‘재외국민 투표소’라고 적힌 플래카드와 팻말 앞에서 여권을 들고 삼삼오오 모여 ‘인증 사진’을 찍기도 했다.
37명의 톈진 교민을 태운 대형 버스는 약 3시간을 달려 11시 30분쯤 대사관 정문에 도착했다. 버스에서 내린 교민들은 한 명 한 명 신분증 확인을 거쳐 대사관 정문 안으로 들어섰다. 이날 오전엔 약 250명 이상이 대사관에서 투표를 마친 것으로 추산된다.
생애 첫 투표를 베이징에서 하게 된 대학생 최서희(20)씨는 “투표할 권리를 가지게 돼 신기하기도 하고 긴장된다”며 “유권자로서의 권리는 올바르게 행사할 때 의미 있다고 생각해, 부모님과 함께 재외국민 투표를 신청해 이곳에 왔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에서 나고 자랐기 때문에 두 나라 모두 좋아하는데, 양국 관계가 안 좋은 모습을 보면 안타깝다”며 “좋은 관계로 나아갔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최씨의 모친 이현초(48)씨도 “재외국민 투표를 처음 해보는데 딸과 함께하게 돼 더욱 뜻깊다”고 말했다.
◇ 中 교민 2만5000여명 투표… 밀봉 후 주민등록지서 개표
이번 대선은 중국 전체에서 총 2만5154명이 투표를 신청했다. 상하이 총영사관에 투표를 신청한 인원이 8892명으로 가장 많고, 베이징 대사관에서는 4318명이 투표를 신청했다. 칭다오와 홍콩 총영사관에서도 각각 3000여명의 교민이 투표할 예정이다.
이번 선거를 위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재외선거관 1명을 베이징으로 파견했고, 대사관에서도 인력 5명을 지원했다. 재외선거관리위원회에서 위원장과 부위원장이 나와 선거를 지원하고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에서 2명씩 선거를 참관, 지원한다. 중앙선관위는 교민들의 투표를 독려하기 위해 베이징 왕징, 우다커우와 톈진에서 출발하는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투표는 국내 사전투표 방식과 비슷했다. 투표소에 들어선 뒤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국내에서 유효한 신분증을 제시하면 투표용지와 밀봉용 등기 봉투를 전달받는다. 기표소에 들어가 기표한 뒤 등기 봉투에 담아 양면테이프로 밀봉한 뒤 투표함에 넣으면 된다. 투표용지는 투표자의 주민등록지 관할 선관위로 보내져 개표될 예정이다.
◇ 투표자 수 줄지만, 열띤 투표 참여
중국의 재외국민 투표자 수는 점점 주는 추세다. 주중한국대사관에 따르면, 2022년 대선 때는 중국 전체에서 3만명에 달하는 교민이, 베이징에선 5315명의 교민이 투표를 신청했다. 올해는 이보다 각각 15%, 20% 적은 교민이 투표를 신청했다.
하지만 투표자 수 대비 투표율은 점점 오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012년 첫 재외국민 선거부터 재외선거위원회를 이끌어 온 안정수 위원장은 “코로나19 이전엔 교민 수가 13만명에 달했는데 지금은 1만명도 되지 않는다. 교민 수는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최근 몇 년 사이 투표 장소의 접근성이 개선되고, (중앙선관위의 지원을 받아) 셔틀버스 운행을 시작하는 등 투표 환경이 개선되고 있어 투표율 자체는 오르고 있다. 이번 대선 투표율은 70%정도는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올해 네 번째 재외국민 투표에 참여한다는 주부 최모(55)씨도 “교민은 많이 줄었지만 이번 대선 참여 열기는 지난 대선 때보다 좋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투표 땐 코로나19 방역 때문에 톈진에서 대형 버스를 타고 오던 교민 50명이 투표를 하지 못하고 돌아간 적도 있다“며 ”여러모로 투표 환경이 개선돼 투표 참여가 열띨 것 같다“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남아 선호는 옛말…여아 지우는 ‘젠더사이드 시대’ 저문다
- “2025년에 인력 40% 줄어”… 전기차 부진에 빗나간 현대차 예측
- [르포] 3개월 만에 거래량 반토막 났다…서부권 지식산업센터 현장 가보니 ‘텅텅’
- 오아시스, 티몬 인수 앞두고 희망퇴직·직무전환에 갈등 고조
- [르포] 종로 5가 약국 거리 ‘흥정의 기술’... “다른 약국은 더 싸던데” “그럼 얼마에 드릴까
- 마포·양천 아파트값, ‘급등기’ 전고점 돌파…서울 전역 ‘들썩’
- [세종풍향계] ‘출세 코스’는 옛말?… 국정기획위 차출 눈치 보는 공무원들
- ‘11조 공룡’이라 인수 후보 못찾는 카카오엔터... 분할 매각도 어려워
- 李 대통령, 장남 결혼식에 ‘오리엔트 시계 소년공’ 친구들 초대
- [Why] BBQ가 100억원 들여 FC바르셀로나를 초청한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