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벌시민조사단 ‘유니벌스’ 해보니…“기후위기로 야생벌 부쩍 줄어”
“여기 쌍살벌 집이 6개 정도 있었는데 지금은 흔적만 있네요. 쌍살벌이 없어지면 나방이나 나비 애벌레들이 많아지는데, 말벌들은 집을 짓기만 하면 벌집 제거 신고가 들어와서 다 사라지는 거죠.”
지난 10일 오전 10시30분께 농림축산검역본부 연구관을 지낸 곤충전문가 이흥식 박사가 서울 강동구 길동생태공원에서 주인 잃은 쌍살벌 집을 가리키며 말했다. 말벌과인 쌍살벌은 농작물을 갉아먹는 나방·나비 애벌레 등을 주로 잡아먹는 익충이다. 이 박사를 따라 벌집 흔적을 들여다보던 10여명의 시민은 바삐 메모를 시작했다. 비 오는 주말 아침 자발적으로 공원에 모인 이들은 사라져 가는 도심의 야생벌들을 관찰하고 화분매개지를 기록하는 야생벌 시민조사단 ‘유니벌스’다.
매년 5월20일은 유엔(UN)이 식량 생산과 생태계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벌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제정한 ‘세계 벌의 날’이다. 꿀벌, 말벌이 익숙하지만, 우리나라에 이름을 가진 벌은 5000여종에 달한다. 지난 2022년 전국 양봉 농가에서 꿀벌 약 80억 마리가 이상기후·해충 등의 영향으로 떼죽음을 당한 뒤 꿀벌의 실종을 막기 위한 각종 대책이 마련됐으나 야생벌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열악하다. 야생벌도 꿀벌처럼 꽃가루를 실어 나르며 농작물의 결실을 돕지만 기후위기와 도심의 각종 공사로 서식지가 사라지며 ‘실종 위기’에 몰렸다. 시민단체 서울환경연합·벌볼일있는사람들·생명다양성재단은 2022년부터 매년 시민조사단을 모집해, 도심에 어떤 야생벌이 사는지, 어떤 환경의 서식지가 조성돼야 하는지 등을 직접 관찰하며 자연활동 공유플랫폼 ‘네이처링’에 기록한다.
세계 벌의 날을 열흘 앞둔 이날, 서울시가 무농약·친환경방제 공원으로 지정한 길동생태공원에서 유니벌스의 1차 조사가 시작됐다. 카메라를 메고 앞장선 이 박사는 “이런 공원은 농약을 뿌리지 않아 애벌레가 많고 꽃가루를 쉽게 구할 수 있어 벌들이 살기 좋은 환경”이라며 “오늘은 비가 내려 벌들이 잘 안 보일 수 있으니 나뭇잎 하나하나 잘 들여다봐야 한다”고 말했다. 20분이면 1바퀴를 돌 수 있는 작은 공원에서 유니벌스의 조사는 풀숲과 나뭇잎 뒷면을 하나하나 살펴보며 2시간가량 이어졌다. 온통 초록빛의 식물로 우거진 공원 둘레길에 멈춰 서서 나뭇잎을 들여다보자 그 안에 숨어있던 검은 곤충들이 보였다.
“우와 이렇게 생긴 벌도 있어요?” 쌍살벌집을 발견하고 40분만인 11시10분께 드디어 벌이 발견됐다. 비를 피해 나뭇잎 뒷면에 붙은 1㎜ 크기의 깡충좀벌과 풀숲에 웅크리고 있던 손톱만 한 크기의 맵시벌이었다. 이들은 노린재 등 해충의 천적으로 생태계에서 해충의 개체 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날 꿀벌이나 말벌은 발견하지 못했다. 비가 오면 집이 있는 벌들은 집에 들어가고, 집이 없는 벌들은 나무나 풀숲에 숨는다.
이날 활동을 이끈 전문가들은 생태계 보전을 위해 야생벌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고 했다. 이 박사는 “꿀벌의 경우 꿀과 꽃가루가 많이 나오는 식물을 좋아해 작은 식물들에는 잘 가지 않는다. 이런 경우 아주 작은 꽃벌들이 다니며 화분 매개를 해준다”며 “기후위기와 도심에서 벌어지는 각종 공사로 벌들이 많아 사라지고 있지만 사람이 양봉을 통해 돌봐주는 꿀벌보다 야생벌이 사라지는 게 더 큰 문제다. 야생벌이 생태계에서 얼마나 중요한 존재인지 인식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수정 벌볼일있는사람들 공동대표도 “아직 야생벌에 대한 인식이 저조해 벌의 실종을 막는다며 야생벌이 사는 땅을 파헤쳐 꿀벌을 위한 식물을 심는 일도 생긴다”며 “야생벌들에 대해 조금이라도 알아야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사소한 관찰과 기록이 그 시작”이라고 말했다.
이날 벌 말고도 겨울에 낙엽 색깔로 위장했다가 허물을 벗으면 녹색이 되는 홍점알락나비애벌레, 몸에 가시 털이 있고 주둥이가 길게 나와 있는 땅딸보가시털바구미, 흰색 밀랍가루로 몸이 덮여 있는 긴솜깍지벌레붙이 등 벌들과 함께 사는 곤충도 발견됐다. 유니벌스 시민들은 휴대전화 화면 위로 떨어지는 굵은 빗방울을 연신 닦아가며 곤충의 이름과 특징을 기록하고 사진을 찍었다.
유니벌스는 이날 첫 조사를 시작으로 8월까지 6차례 조사를 할 예정이다. 생태공원뿐 아니라 일상 속에서도 야생벌을 관찰하고 기록할 수 있는 ‘시민과학자’를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말에는 시민과학 콘퍼런스를 진행해 조사 결과와 활동 성과를 공유한다. 이날 조사에 참여한 대학원생 강정은(26)씨는 “벌 실종 사건 이후 꿀벌에만 관심이 쏟아졌는데, 야생벌은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알아보고 싶었다”며 “곤충에 관심은 있어도 무서웠는데, 이날은 가까이 들여다봐도 괜찮을 만큼 거리가 좁혀진 기분이다. 벌들이 혐오의 대상이 아니라 공존하는 존재로 인식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울 용산구에서 온 50대 홍연숙씨도 “몰랐던 벌들의 종류가 매우 많아 놀라웠다. 유니벌스 활동으로 야생벌들을 기록해 더 많은 이들한테 야생벌의 중요성을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고나린 기자 me@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재명, ‘SPC 산재사망’ 애도…“목숨 걸고 출근하는 노동후진국 바꿔야”
- 민주, 김용태 대선 후보 배우자 토론 제안 일축…“어처구니 없는 제안 ”
- 빵 사러 왔던 SPC삼립 인근 노동자들, 발길 돌리며 “사고 몰랐다” [현장]
- 공수처, 지귀연 부장판사 고발 사건 수사3부 배당
- 이재명, 방탄유리 밖으로 나오자 “얼른 들어가라” 외친 이들은?
- 경찰, ‘중국 간첩 99명 체포’ 허위보도 스카이데일리 기자 구속영장 청구
- ‘계몽령’ 김계리 국힘 입당 지연…“부적절 의견 많아, 대기 중”
- 법무장관의 ‘TK·공안 알박기’…“정권 바뀌면 ‘한동수 감찰부장’ 되라는 것”
- SKT 단말기 식별번호 유출 가능성…유심보호서비스 무력화될수도
- ‘한국은 끝났다’에 대한 반론 [세상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