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미포산단, 24시간 잠들지 않는 친환경 산단 '기대'
[투어코리아=이창식 기자] 울산광역시는 울산미포 국가산업단지가 디지털복제(트윈) 기반 산단통합관리 온라인체제기반(플랫폼) 및 안전 중심 서비스를 통해 24시간 잠들지 않는, 안전하고 첨단화된 친환경 산업단지로 거듭난다고 20일 밝혔다.
울산시는 지난 13일 남구 부곡동에서 열린 '울산국가산단 통합안전관리센터 준공식'에서 산업단지의 안전 파수꾼 역할을 하게 될 '울산미포 스마트그린산단 통합관제센터'를 처음 선보였다.
울산미포 스마트그린산단 통합관제센터는 디지털복제(트윈) 기술을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로 국가산단 내 지상 및 지하 정보를 통합 연계해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지하배관, 유해물질·악취 오염, 화재·폭발 등을 실시간 관제·관찰하는 체계(시스템)를 갖추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울산미포 국가산단이 지난 2021년 3월 산업단지 대개조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스마트그린산단으로 지정됨에 따라 추진됐다.
울산정보산업진흥원을 비롯한 6개 기관이 연합체(컨소시엄)를 구성해 지난 2022년 12월 착공해 올해 11월 완료 예정으로, 현재 추진율은 90%에 이르고 있다. 사업비는 총 130억 원(국비 85억 원, 시비 45억 원)이 투입된다.
주요 사업으로는 통합관제센터 기반(인프라) 구축을 비롯해 ▲디지털복제(트윈) 기반 통합관제온라인체제기반(플랫폼)(울산미포산단 37.8㎢ 및 지하배관 1,767㎞) ▲인공지능 기반 화재·폭발 감지(70m 관제탑 영상감시) ▲지하배관 감시망 구축(사물인터넷(IoT)기반 58개소), 인공지능(AI)기반 22개소) ▲유해물질·악취 오염원 추적(48개소) ▲지능형(스마트)가로등(20개소) ▲지능형공간(스마트부스)(3개소) 구축 등이다.
통합관제센터 구축이 완료되면 화학제품 및 석유정제 분야의 위험물질을 다루는 울산미포 국가산업단지의 특성상 상존하는 유출·폭발 등 대형사고 위험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어, 단지의 안전성과 대응체계가 한층 강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미포 스마트그린산단 통합관제센터는 울산 국가산단을 미래지향적 첨단 안전산업단지로 전환해, 안전관리와 디지털 혁신을 선도할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 발전과 함께 근로 환경 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Copyright © 투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금 가장 핫한 ‘여수’ 핫플 총정리① - 투어코리아
- 박범인 금산군수, 금산세계인삼축제 세계화 도약 ‘진일보’ - 투어코리아
- 강화 화개정원 개원 2주년… "교동도 대표 관광지로 우뚝" - 투어코리아
- ‘힐링+재미+인생샷’ 다 잡는 음성여행! - 투어코리아
- [포토] 이재명 후보, 내리는 비 뚫고 광양·여수 찍고 순천서 유세 - 투어코리아
- 전남도, 전남 관광·숙박상품 ‘GS홈쇼핑’서 선봬 - 투어코리아
- 한국관광공사-조선호텔앤리조트, 관광기업 해외 진출 돕기 위해 맞손 …기업당 2천만 원 사업화
- [기획특집]“도심 속 지친 시민들의 ‘쉼터’공립수목원을 돌려주세요” - 투어코리아
- 소외 없는 여행 즐기세요!...한국관광공사x시흥시, 무장애 '갯골생태공원에서 함께 海(해)’ 운
- 한국관광공사, 가펑·무주군과 'BETTER里(배터리)' 추진 맞손..관광인구 충전으로 활력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