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신용등급 강등, 시장 영향 ‘제한적’…국가부채 이슈 계속 주시”(재종합)
“예상했던 조치…국내외 금융·외환시장 동향 점검”
“필요시 컨틴전시 플랜대로 대응”
“트럼프 감세에 美국가부채 이슈 지속…영향 살펴야”
[세종=이데일리 강신우 김미영 기자] 정부는 국제신용평가인 무디스의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 결정이 국내 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미국과의 관세협상 등 기존의 대외 불확실성에 더해져 단기적으로 금융·외환 시장의 변동성 확대 요인이 될 수 있단 가능성을 열어두고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점검키로 했다. 신용등급 강등의 요인이 된 미국 정부의 재정 적대 확대와 국가부채 증가 이슈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이란 점에서 이로 인한 여파도 계속 예의주시하겠단 분위기다.
기재부는 19일 오전 윤인대 기재부 차관보 주재로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하향조정(Aaa → Aa1)에 따른 시장 영향을 점검하기 위해 관계기관 시장 상황 점검회의(컨퍼런스 콜)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윤 차관보를 비롯해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등이 참여했다.
참석자들은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은 다른 신평사(S&P 2011년·피치 2023년)와 뒤늦게 수준을 맞춘 조치라고 평가했다. 또한 무디스가 그동안 미국의 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평가해 온 점 등을 감안할 때 어느 정도 예상된 조치로 시장에 미칠 영향은 대체로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다만 이번 강등이 주요국과 미국 간의 관세협상, 미국 경제상황 등 기존의 대외 불확실성과 함께 단기적으로 금융·외환 시장의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 관계기관 간 긴밀한 공조체계를 바탕으로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면밀히 점검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무디스의 조정 발표 이후 미국장이 15분 정도 영향을 받았지만, 100% 반영이 된 것인지는 오늘 미국장 상황을 봐야 한다”며 “지금까지 시장반응을 봐선 크게 걱정할 건 아니라고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필요 시엔 상황별 대응계획(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긴밀한 관계기관 공조체계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정부 일각에선 이번 무디스의 강등 조치로 인한 여파가 제한적이라 해도 트럼프 2기 정부의 감세정책 등으로 미국 재정적자 확대와 국가부채 증가가 계속되리란 점에서 이로 인한 파장을 지켜봐야 한단 목소리가 나왔다. 다른 관계자는 “미국의 재정 이슈는 외신도 계속 지적하는 등 하루이틀에 끝날 문제가 아니다”며 “보다 길게 한국에 미칠 영향을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16일(현지시간) 무디스는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최고등급인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낮췄다. 미국 정부 부채 비율과 이자 지급 비율이 지난 10년간 현저히 높은 수준으로 증가했단 이유에서다.
다만 무디스는 이미 2023년 11월 미국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조정하고 등급 하향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3대 신평사 가운데선 S&P가 2011년 미국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피치가 2023년 8월에 AAA에서 AA+로 각각 내렸다.
김미영 (bomnal@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문수 악수 거절 뒤 이재명과"...권영국, '패싱' 이유는?
- ‘은퇴’ 전한길 “사실상 잘린 것...유튜브 후원도 막혀” 읍소
- "치사율 75% 백신도 없다"…우려에 진단키트주 급등
- 동탄호수공원서 흉기난동 벌인 40대 중국교포, 긴급체포
- 일하다가 삐쩍 곯는다고?… 직장인 70% '살'만 늘었다
- 유치장서 ‘복통’ 호소한 허경영 “병원 갔다가 이상 없어 복귀”
- "감히 신전을..." 그리스 발칵 뒤집은 아디다스 [영상]
- 굶주림에 개사료 먹던 두 살배기…계부는 '인증샷' 찍어 보냈다 [그해 오늘]
- 안재욱 "美 여행 중 급성뇌출혈로 생존율 50%…병원비만 5억"(같이 삽시다)
- '언슬전' 고윤정 "실제론 남동생만…직업 공무원, 잘생기진 않아"[인터뷰]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