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재판, 또 ‘비공개’ 진행…재판부 “알권리 무시하는 것 아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내란 혐의로 구속기소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재판이 연달아 비공개로 진행되자 방청 중이던 한 시민단체 관계자가 이의를 제기하고 나섰다.
한편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은 전날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서 진행한 '내란죄 재판 모니터링 경과 보고' 기자회견에서 "지귀연 재판부는 윤석열 전 대통령 재판도 비공개로 진행할 것을 암시하는 이야기를 계속하고 있다"면서 "비상식적인 재판 진행에 더 이상 개선의 여지가 없을 것이라는 판단에 서울중앙지법원장과 지귀연 재판부, 법원행정처장에게 의견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귀연 재판부 “논란 알고 있어…알권리 침해 않는 방향으로 검토”
(시사저널=박선우 디지털팀 기자)
내란 혐의로 구속기소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재판이 연달아 비공개로 진행되자 방청 중이던 한 시민단체 관계자가 이의를 제기하고 나섰다. 재판부는 관련 논란을 인지하고 있다면서 "국민의 알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합의25부(지귀연 부장판사)는 이날 오전 김 전 장관·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김용군 전 제3야전군사령부 헌병대장(대령)의 내란 중요임무종사 혐의 사건 공판 시작 약 3분만에 비공개로 전환했다.
이날 공판에선 김봉규 정보사 대령에 대한 증인신문이 예정돼 있다. 다만 재판부는 앞선 정성욱 정보사 대령 증인신문 때와 마찬가지로 국가 안전보장 문제를 이유로 비공개 신문을 결정했다. 재판부가 비공개 재판을 결정한 건 지난 3월27일부터 이날까지 총 5차례에 달한다.
재판부가 이날 비공개 재판 전환을 공지하고 퇴정을 요구하자 방청석에 있던 참여연대의 한 관계자가 "지속적인 (재판) 비공개와 관련해 이의가 있다"면서 의견서를 전달하고 싶다고 요구했다.
이에 재판부는 "안 그래도 군인권센터에서 (관련 의견서를) 제출했다. 증인신문이 끝나고 말씀드리려 했다"면서 "관련해 논란이 있는 것 같아서 가급적 재판부도 검찰과 얘기해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재판부가 국민의 알권리를 무시해서가 아니라, 법령상 (비공개로 진행)하는데 자꾸 논란이 있는 것도 알고 있다"면서 "(향후 재판은) 긍정적으로, 국민의 알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검토해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은 전날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서 진행한 '내란죄 재판 모니터링 경과 보고' 기자회견에서 "지귀연 재판부는 윤석열 전 대통령 재판도 비공개로 진행할 것을 암시하는 이야기를 계속하고 있다"면서 "비상식적인 재판 진행에 더 이상 개선의 여지가 없을 것이라는 판단에 서울중앙지법원장과 지귀연 재판부, 법원행정처장에게 의견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자 가상대결…이재명 46.5% 한덕수 34.3% 이준석 5.9% [리얼미터] - 시사저널
- 교복만 입었을 뿐, 그들은 이미 흉악범이었다 [정락인의 사건 속으로] - 시사저널
- ‘한덕수 단일화’ 속도전 엇박자…김문수 “국민의힘, 날 대선후보로 인정 안 해” - 시사저널
- 물 건너간 의대교육 정상화?…“이대로면 10명 중 7명 유급” - 시사저널
- 배두나 “관객들의 ‘몰입’ 위해 사생활 공개 지양한다” - 시사저널
- 돌아온 ‘국민엄마’ 김혜자는 지금도 진화 중 - 시사저널
- 활동 중단에 ‘혐한’ 인터뷰까지…뉴진스의 행보 괜찮나 - 시사저널
- 바둑판의 전설, 이기고 지는 데 도리 없는 《승부》 - 시사저널
- 민주 “후보 공판일 모두 대선 뒤로…사법 쿠데타 막겠다” - 시사저널
- 한덕수, 이재명 정조준 “줄탄핵·25만원 퍼주기로 국민행복 이룬 나라 없어” - 시사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