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고사 직전, 양도세 확 낮추자
이데일리, 부동산 전문가 20명 설문조사
건설투자 2년째 감소…1년째 성장 갉아먹어
세금 깎고·대출 규제 완화…수요 진작책 우선해야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부동산 세금을 깎고 대출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수요 진작책이 차기 정부에서 가장 우선 추진해야 할 부동산 정책으로 꼽혔다. 부진한 건설 업황이 우리나라 전체 경제 성장세를 갉아먹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대다수 전문가들은 수요 진작책을 최우선 정책으로 꼽았다. 특히 20명 중 17명이 양도소득세 등 거래세 완화를 주장해 부동산 거래 활성화 필요성이 대두됐다. 절반 가량은 다주택자에 대한 세금도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는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8명, 완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6명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우세했으나 보유세 강화는 거래세 인하와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다수였다.
7월부터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으로 대출 규제가 강화되는데 이를 예정대로 시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지만, 각종 부동산 관련 대출 규제를 완화하거나 지역별·차주별로 차등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다수였다.
주택 등 공급 확대도 차기 정부가 추진해야 할 주요 정책으로 꼽혔다. 전문가 20명 중 5명은 차기 정부에서 ‘민간주택 공급 확대’가 최우선 정책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간·공공 구분 없이 주택 공급이 확대돼야 한다는 의견까지 합하면 6명이 ‘공급 확대’를 최우선 정책으로 꼽았다.
수도권과 지방 불균형 완화를 최우선해야 한다는 전문가도 4명이나 됐다. 연초 서울시가 강남권을 중심으로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를 풀었다가 이들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단기간에 고공행진하면서 한 달여 만에 토허제를 확대 재지정하는 소동이 일어날 정도로 서울은 언제든 집값이 급등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반면 지방은 악성(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3월 말 2만 543가구로 2012년 2월(2만 807가구) 이후 13년 1개월래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다.
최정희 (jhid020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얼굴 찢기고 뚫리고’…이재명 선거현수막 훼손 경찰 수사
- "사정거리 2km '괴물 소총' 밀반입"...이재명, 방탄복 유세
- “목숨 다할 각오”…김흥국 등 연예인 10명, 김문수 지지 선언
- 이재명 유세장에 등장한 의문의 ‘손거울’...정체는?
- 기관차가 객차 위로…경산 열차 참사 [그해 오늘]
- 14만원→9900원 폭락…한때 잘 나갔는데 지금은 '시한부'
- 공수처 "대통령실서 'VIP 격노' 관련 자료 확보"
- "트럼프 항복의 날" 미·중 관세 휴전에 트럼프 패배론
- “위고비보다 8㎏ 더 빠졌다”…새 비만약 어떻길래
- 이상민 아내 "이상민 돈 없는데 괜찮냐고? 내가 많아서 괜찮아"(돌싱포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