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승환 “작가 김수현은 최고 연기 스승… 악보 같은 대본으로 연주하듯 배웠다"
송승환(68) PMC프러덕션 예술감독은 화장실에 아이패드를 꼭 들고 간다. 동영상을 보려는 것이 아니다. 비데를 쓰기 위해서다. 2018년 시각장애 4급 판정을 받은 그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세상은 시야 반경 30㎝ 안쪽이다. 비데 버튼 위치를 파악하려면 아이패드로 비데를 촬영한 후, 화면을 터치해 최대한 확대하고, 확대한 이미지가 담긴 아이패드를 눈 가까이로 바짝 붙여야 한다. “오호라, 이 버튼이 그 버튼이군.” 비데만이 아니다. 집에 있는 각종 리모컨도 모두 촬영해서 아이패드에 담아뒀다가 버튼 위치를 확인한다. 글자는 낫다. AI 음성 기능 덕분이다. 책은 귀로 읽고 문자도 귀로 듣고 보낸다.
그렇게 애써 보낸 문자 중 하나가 최근 지인들에게 발송됐다. ‘제가 1965년 아역으로 데뷔한 후 올해로 60년이 됐습니다. 오랜만에 만나서 차 한잔 마시며 지난 얘기 나눌 자리가 됐으면 합니다.’ 내달 11~22일 종로구 계동에서 데뷔 60주년을 맞아 열리는 ‘나는 배우다, 송승환’ 사진전 초대였다. 이달 말에는 동명의 자서전(뜨인돌출판사)도 낸다.
◇어떤 고통이 닥쳐도 잊게 해주는 일, 배우
누적 관객 1550만명의 비언어극 ‘난타’의 아버지, 탤런트, 연극·영화배우, MC, DJ, 교수, 공연 제작자 등 여러 직업과 호칭을 가져봤지만 그는 “저의 정체성은 배우”라고 줄곧 말해왔다. 안암국민학교 3학년이던 1965년 KBS 라디오 프로그램 ‘은방울과 차돌이’의 차돌이 역할로 시작한 연기는 시력을 완전히 잃을지 모른다는 절망 앞에서도 그를 버티게 해준 빛이었다. “연기를 하면 잊거든요. 그 순간엔 역할에 몰입해서 세상 시름이 사라져요. 가부좌 틀고 참선하는 것과 같죠.” 최근 서울 대학로 PMC프러덕션 사무실에서 만난 그는 “마지막 꿈도 노역 배우로 인생을 마무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끝까지 배우로 남고 싶은 그에게 최고의 스승은 작가 김수현(82)이다. 처음 출연한 김 작가의 작품은 일일드라마 ‘사랑합시다’(1981)였다. 김수현 드라마 출연이 모든 탤런트들의 꿈이었던 시절, 엉뚱한 둘째 아들 역으로 인기를 얻은 그는 같은 해 출연한 연극 ‘에쿠우스’로 백상 연기상을 받고, 왕영은과 ‘젊음의 행진’ MC를 맡고, ‘밤을 잊은 그대에게’ DJ를 했다. 모두가 부러워하던 청춘 스타였다.
그러나 명성은 액운의 다른 얼굴이었다. 1985년 부침을 거듭하던 부친의 사업이 재기 불능에 이르면서 온 가족이 뿔뿔이 흩어졌다. 그가 벌어둔 돈은 모조리 빚 청산에 들어갔다. 그는 허망함에 뒤쫓기듯 뉴욕으로 떠났다. 짝퉁 롤렉스를 5달러에 사다가 10달러에 되파는 벼룩시장 행상을 하고, 한인방송에 출연하며 지내던 그는 3년 만에 귀국했다. 아들 역도 아버지 역도 애매해진 30대 중년이었다. 간간이 들어오는 특집극에 출연하던 그를 김수현이 다시 불렀다. 시청률 45%를 넘나든 주말연속극 ‘목욕탕집 남자들’(1995)이었다. 양희경과 코믹한 부부로 출연한 그에게 CF 요청이 10편 넘게 몰렸다. 송승환은 “김수현 선생님은 제게 청춘 스타의 디딤돌을 만들어주셨고 중년 배우로 연기를 계속할 수 있게 해주셨다”며 “그 감사함을 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연기 스승은 작가 김수현의 깐깐한 대본
단순히 캐스팅에 그치지 않았다. 그는 “김 선생님 덕분에 연기를 많이 배웠다”고 했다. 한번 믿으면 계속 믿는 김수현은 송승환을 ‘내 사랑 누굴까’(2002), ‘무자식 상팔자’(2012), ‘그래, 그런거야’(2016)에서 다시 불렀다. “김 선생님 대본은 악보 같았어요. 물음표가 1개, 2개, 3개 문장이 있는데 의미가 다 달랐으니까요. 1개는 살짝 놀라고, 2개는 깜짝 놀라고, 3개는 대경실색하라는 기호였죠. 까다롭지만, 그대로 했을 때 누가 봐도 연기 잘한다는 말이 나왔어요.” 송승환은 15일 스승의날에 김 작가에게 점심 식사를 대접할 예정이다. 김 작가는 며칠 전 “그날을 기다리고 있어”라고 문자를 보내왔다. “선생님도 나이 드셨는지 이런 문자를.... 드라마 한 편 꼭 다시 쓰실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깐깐한 김수현의 “괜찮았어”… 송승환이 들은 최고의 칭찬
드라마 대본에 적힌 토씨 하나라도 즉흥적으로 바꿔 연기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던 김수현 작가는 깐깐하다는 명성대로 출연 배우들에게 칭찬이 드물었다. 어쩌다 한다 해도 표현이 지극히 절제돼 있었다. 드물게 매우 만족했을 때 칭찬으로 하던 말이 “음, 괜찮았어”였다. 송승환은 연기 스승에게 들었던 이 한마디를 여전히 최고의 칭찬으로 기억하고 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임성근 前사단장 “이명현 특검, 공정성 우려” 면담 요구
- 수녀원 “고기 후원 끊겼다” 말에…삼겹살 구워 대접한 주지스님
- 李대통령 장남, 서울 모처에서 결혼... 與인사 대거 참석
- 조은석 특검 “검·경 등에 내란 특검 사무공간 요청”
- “외도와 폭력”vs“현금, 차 다 넘겨”…가수 부부 이혼 폭로전
- 李대통령 “대북 전단 살포 엄중 대처”… 예방·처벌 대책 지시
- 美 보잉, 미중 관세전쟁 격화 후 中항공사에 처음으로 항공기 인도
- 주진우 “김민석 총리 후보자, 비정상적 재산 증식 설명해야”
- 이헌승, 국민의힘 원내대표 선거 출마… 김성원·송언석과 3파전
- 이스라엘, 정작 60% 고농축 우라늄 최대 저장시설은 공격 안한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