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에 강경' 트럼프, 남아공 난민 수용 비판에 "우연히 백인"(종합)
(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 강경한 이민 정책을 채택한 미국 트럼프 정부가 사실상 모든 난민 프로그램을 중단한 가운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백인들이 12일(현지시간) 난민 자격으로 입국했다.
49명의 이른바 '아프리카너'(Afrikaners·17세기 남아공에 이주한 네덜란드 정착민 후손)는 미국 정부가 비용을 부담한 전세기로 이날 워싱턴 DC의 덜레스 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크리스토퍼 랜도 국무부 부장관, 트로이 에드거 국토안보부 부장관이 직접 공항까지 나와 자신 및 자신들의 가족도 박해 등을 피해서 이민 온 사람이라면서 이들을 환영했다고 뉴욕타임스(NYT) 등은 보도했다.
랜도 부장관은 "여러분들이 성조기를 들고 있는 모습을 보니 기쁘다"라고 말했다.
이어 "여러분 대부분은 농부가 아니냐"라고 반문하면서 "여러분이 좋은 씨앗이 있다면, 그것을 외국 땅에 심어도 씨앗은 꽃을 피울 것이다. 여러분은 이곳에서 꽃을 피울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2기 정부에서 남아공 백인이 난민으로 들어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파르트헤이트(흑백 인종 차별 정책) 폐지 이후 토지 개혁 요구 차원에서 나온 남아공의 토지 관련 법을 비판하면서 지난 2월 남아공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관련 피해자들을 난민으로 수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이날 입국한 남아공의 아프리카너에 3개월만에 신속히 난민 자격을 부여해 이들을 입국시켰다.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미국에 체류하도록 했던 중남미 국가 국민의 체류 허가에 대한 취소도 추진하는 등 강경한 이민 정책을 추진한 트럼프 대통령이 남아공 백인에는 역차별로 박해당하고 있다면서 난민 지위를 부여한 것을 두고 미국 내에서는 '이중 잣대'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문제 삼은 토지 법안은 공익을 위해 사적으로 소유한 토지를 보상 없이 몰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사법 심사 절차가 선행돼야 한다고 NYT는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진행된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남아공 백인을 난민으로 수용한 것과 관련, "우리는 사람들이 죽는 것을 보고 싶지 않다"라면서 (남아공) 농민들이 살해되고 있으며 제노사이드(genocide·집단학살)가 벌어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해당 난민들이 백인인 것에 대해서는 "그들이 백인인 것은 우연"이라면서 "그들이 백인인지 흑인인지는 내게 아무 차이가 없다. 백인 농부들이 잔인하게 죽임을 당하고 있으며 (그들의) 땅이 남아공에서 몰수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이민 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스티븐 밀러 백악관 부비서실장도 남아공 상황과 관련, "이것은 인종에 기반한 박해"라면서 "난민 프로그램이 만들어진 이유를 보여주는 교과서적 사례"라고 주장했다고 NYT 등이 보도했다.
soleco@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횡령 혐의' 황정음, 회삿돈 43억 전액 변제…"깊이 반성" | 연합뉴스
- '생방 중 폭격'에도 즉각 마이크 복귀…'국민 영웅'된 이란 앵커 | 연합뉴스
- 여탕·남탕 뒤바뀐 스티커에 여성 알몸 노출…20대 입건 | 연합뉴스
- 검찰, 서천 40대 여성 '묻지마 살인' 이지현에 무기징역 구형 | 연합뉴스
- 美훈련 참여 韓소방대원들, 교통사고 현장서 구조활동 눈길 | 연합뉴스
- 순찰차 6대 들이받으며 도주한 운전자…13㎞ 추격전 끝 검거 | 연합뉴스
- 아들 체벌 놓고 말싸움…부부동반 모임서 아내 살해한 40대 | 연합뉴스
- "내가 전부 고칠 수 있다"…48㎝ 장침으로 무면허 침시술한 70대 | 연합뉴스
- 브라질서 공분 부른 10대 살해 중국인…"시신 방치해 개가 훼손" | 연합뉴스
- '손흥민에 임신 협박해 금품 요구' 남녀 다음달 첫 재판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