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골·소믈리에 빼면 다 속아" 프랑스 관광지 식당의 '와인 바꿔치기'···대처법은
프랑스 파리 몽마르트르 같은 유명 관광지의 일부 식당들이 고객을 상대로 와인을 속여 팔아 부당하게 이윤을 얻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3일(현지시간) 프랑스 일간 르파리지앵은 일부 식당에서 와인 전문가(소믈리에)가 외국인 관광객으로 위장해 주문한 결과와 근무 경험자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보도했다.
외국인 관광객으로 위장한 와인 소믈리에가 방문한 몽마르트르 근처의 한 식당에서 종업원은 주문 받은 8.50유로(1만 2000원) 가격의 와인 대신 5.60유로(약 7800원)짜리 와인을 가져왔다.
다른 소믈리에가 외국인 관광객을 가장해 상세르 화이트 와인 한 잔을 시키자 2유로(약 2800원) 정도 더 싼 소비뇽 화이트 와인이 나왔다. 이 소믈리에가 와인이 잘못 나온 것 같다고 말하자 종업원은 다시 잔에 와인을 담아와서 건넸다. 소믈리에는 역시 직전과 동일한 소비뇽 품종이었다고 지적했다.
르파리지앵 인터뷰에 응한 한 식당 종업원은 이런 행태는 '분갈이'(Rempoter)라는 은어로 통한다고 설명했다. 파리의 식당에서 30년 동안 근무한 사라(가명) 씨는 "잔 와인의 경우 남은 와인 중 아무거나 따라서 버리는 게 없도록 한다"며 "혹은 병 바닥에 남은 와인을 모아 해피아워용(할인시간) 와인으로 제공하기도 한다"고 털어놨다. 이어 "소믈리에에게 물어보면 완전히 다른 와인이라고 말하겠지만 와인에 대해 잘 모르는 관광객들은 맛을 잘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우리가 원하는 대로 제공할 수 있다"고 했다.
과거 몽마르트르 근처 술집에서 일했던 트리스탕(가명) 씨도 "단골들을 제외한 다른 손님은 모두 속았다"며 "특히 미국 관광객이 테라스에 들어오면 저 사람들은 분명히 속겠구나 싶었다"고 회상했다. 그러면서 당시 새 와인병을 따지 않기 위해 고객이 주문한 와인과 다른 와인을 제공하라고 업주가 자주 지시했다고 말했다. 그는 "가장 비싼 와인병이 너무 빨리 비면 업주에게 혼났다"며 "딱 한 번 손님이 속임수를 알아챘는데 그 사람은 소믈리에였다"고 설명했다.
르파리지앵은 이 같은 사기 행각은 적발되면 최대 30만 유로(4억 2000만 원)의 벌금과 2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사기 행각에 속지 않기 위한 방법으로는 와인을 주문할 때 병을 직접 보여달라고 하거나 여러 명이 함께 식당을 방문할 경우에는 병째로 주문하는 게 낫다고 조언했다.
박경훈 기자 socool@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세상에 딱 3병 남은 위스키'…우리나라에서 살 수 있다는데 가격이 무려
- '너 알아? 둘이 그렇고 그런 사이래'…술자리서 뒷담화한 군인의 최후
- 누워있는 남편을 양주병으로…'부동산 1타강사' 살해한 아내 '재판행'
- '아이 낳으면 700만원'…한국 보다 출산율 2배 높은데 지원 쏟아지는 '이 나라'
- '숙제 안 했다고…' '前 야구선수'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아들
- '한 알만 먹으면 체지방 싹 분해'…SNS 속 허위광고 무더기 적발
- '어제도 회 먹었는데 큰일났네' 치사율 50%인 '이 감염균'…올해 첫 검출
- '우리 사귈까' 부잣집 딸 '가스라이팅'…부모 재산 100억 뜯어낸 20대
- '지갑 두고 왔는데 돈은 내일 줄게요'…한달째 돌아오지 않는 손님에 식당 주인은
- 한 잔 진하게 같이 해야 친해진다? 침팬지, '술 파티' 장면 첫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