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직급 아닌 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 개편 추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의힘은 직무성과급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을 추진하겠다고 17일 밝혔다.
정년 제도도 유연하게 손보겠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또 법정 정년인 60세 이후에도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도 했다.
'정년 유연화'와 '계속고용제' 도입을 통해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직무성과급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을 추진하겠다고 17일 밝혔다. 정년 제도도 유연하게 손보겠다고 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비대위 회의에서 "성과에 정당한 보상이 따르고, 실력과 노력이 연봉을 결정하는 사회가 공정한 대한민국의 시작"이라며 이 같은 구상을 밝혔다. 임금 총액은 유지하되, 성과와 연봉을 연동해 초년차와 고연차 간 보수 격차를 완화하겠다는 내용이다.
권 비대위원장은 "인공지능(AI)을 비롯한 혁신 산업이 세계 판도를 바꾸는 시대임에도 우리 임금 시스템은 과거 산업화 시기에 머물러 있다"면서 "연공서열 임금체계의 낡은 틀 안에서는 청년의 창의도, 기업의 혁신도 꽃을 피우기 어렵고,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도 보장할 수 없다"고 개편 필요성을 설명했다.
국민의힘은 또 법정 정년인 60세 이후에도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도 했다. '정년 유연화'와 '계속고용제' 도입을 통해서다. 권 비대위원장은 "지금은 일할 능력과 의지가 있어도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기계적 정년(60세)에 묶여 직장을 그만둬야 하고, 향후 65세까지 올라갈 연금 수령 시기와도 심각한 불일치 문제가 초래된다"며 "중장년층의 경륜이 계속 쓰일 수 있는 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날 발표한 정책은 '주 4.5일 유연근무제'와 '주 52시간 근로제 폐지'에 이은 당의 두 번째 대선 노동공약이다. 권 비대위원장은 "청년에게는 더 많은 기회를, 중장년층에게는 합당한 존중을, 어르신에게는 생활 안정을 드리는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유빈 기자 yubin@hankookilbo.com
김민기 인턴 기자 alsrlsky@naver.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수십 통 전화벨에 여론조사 포비아...작년에만 2700만대 울렸다 | 한국일보
- "가장 폭력적인 정치인은 누구?" 선거법 구멍에 '편향 설문' 판친다 | 한국일보
- "입에서 입 '러브샷' 시켰다"... 조선대 신입생 MT 성희롱 논란 | 한국일보
- 유영재, 선우은숙 친언니 강제추행 혐의 인정 "깊이 사과" | 한국일보
- 데뷔 30년 만에 첫 악역 박은빈 "거친 느낌 내려 드라이도 안 해" | 한국일보
- 문재인은 뚫었다… 이재명 지지율 정말 30%대 '박스권'에 갇혔나 | 한국일보
- 일격 맞은 '한덕수 차출론'... 단일화 외쳤던 김문수 '머쓱' | 한국일보
- 김대호, 전현무와 대치 "어차피 프리랜서는 밥그릇 싸움" | 한국일보
- [단독] TK·호남 경선 반영 3배 차이... '기울어진' 국민의힘 여론조사 | 한국일보
- 20세 최연소 사시 합격자, 김앤장 퇴사 후 대학원 진학한 이유는?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