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시간 만에 -90%"…'곡소리' 나는 만트라 코인, 국내에선 왜 잠잠할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상자산 만트라(OM)가 지난 14일 3시간 만에 90% 이상 폭락하면서 연일 논란인 가운데, 국내 시장에서는 해외에 비해 그 여파가 크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지난 14일 오전 만트라(OM) 코인 가격이 3시간 만에 90% 넘게 폭락했을 당시 국내 가상자산 커뮤니티에서도 해당 소식이 화제가 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 2의 루나 사태'?…"루나와의 공통점, 가격 폭락 외엔 없어"
(서울=뉴스1) 박현영 블록체인전문기자 = 가상자산 만트라(OM)가 지난 14일 3시간 만에 90% 이상 폭락하면서 연일 논란인 가운데, 국내 시장에서는 해외에 비해 그 여파가 크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격이 짧은 시간에 폭락했다는 점에서 '제2의 루나 사태'로 불리고 있지만, 루나만큼 국내 시장에서 많이 거래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만트라는 업비트와 빗썸에 상장돼 있지 않다.
'업빗썸'에 없어 국내서는 파장 덜해…코인원 거래량은 전 세계 0.2% 불과
16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지난 14일 오전 만트라(OM) 코인 가격이 3시간 만에 90% 넘게 폭락했을 당시 국내 가상자산 커뮤니티에서도 해당 소식이 화제가 됐다.
만트라는 지난 14일 오전 1시 25분 코인마켓캡 기준 6.13달러를 기록하고 있었으나, 이후 약 3시간 반 만인 오전 5시 0.5달러를 기록했다. 92%가량 폭락한 것이다. 시가총액도 50억 달러(약 7조 원) 이상 증발했다.
만트라 팀 측은 재단이나 주요 투자자가 코인을 매도한 것이 아닌, 중앙화 거래소에서 예고 없이 연쇄 청산이 발생한 탓에 가격이 폭락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짧은 시간에 가격이 폭락했으므로 화제는 됐지만, 지난 2022년 '루나 사태' 때만큼 피해 사례가 속출하거나 소송 등 투자자 단체 움직임이 포착된 바는 없다. 루나에 비해 시가총액 규모가 작은 영향도 있으나, 무엇보다 국내 대형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영향이 큰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만트라는 국내 원화마켓 가상자산 거래소 중 코인원에만 상장돼 있다. 이날 기준 코인원 내 만트라 24시간 거래량은 45억 원어치다.
이는 폭락 이후 거래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폭락 전에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전 세계 만트라 코인 거래량에서 코인원이 차지하는 비중도 0.21%에 불과하다. 대형 거래소인 업비트와 빗썸에 상장돼 있지 않기 때문에 국내 투자자들의 피해는 크지 않다는 것이다.
한 가상자산 투자자는 "국내 대형 거래소에 만트라가 없어서 다행이다"라며 "상장 심사가 복잡한 것이 다행일 때도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제2의 루나 사태?…"루나와의 공통점 없다" 분석도
이에 더해 '제2의 루나 사태'로 불리고는 있으나, 실제 테라·루나 사태와의 공통점은 가격이 단시간에 폭락했다는 점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테라·루나의 경우 테라 가격을 1달러로 유지하던 알고리즘이 무너지면서, 테라 가격 유지에 쓰이던 코인인 루나의 가격도 폭락했다. 즉, 가상자산 프로젝트 자체에 결함이 있었다.
반면 만트라는 중앙화 거래소에서 대규모 청산이 발생하면서 가격이 폭락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 때문에 90% 폭락에 걸린 시간도 테라, 루나보다 훨씬 짧았다. 테라USD가 1달러에서 90% 폭락하기까지 5일이 걸린 반면 만트라는 불과 3시간 반가량 걸렸다.
디파이(탈중앙화금융) 프로젝트 우(Woo)의 벤 요크 부사장은 코인텔레그래프에 "테라의 붕괴는 프로젝트의 구조적 결함과,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의 실패로 인해 발생했다"면서 "만트라는 '과실'로 인한 폭락에 가깝다"고 분석했다.
한편 존 멀린 만트라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그가 보유 중인 만트라(OM) 코인을 모두 소각하겠다고 했다. 팀 물량인 3억개 중 그가 보유한 물량은 77만 2000개로, 락업 기간은 2027년 4월까지였다.
hyun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의도치 않는 성관계, 잠든 사이 일어난 '섹솜니아'…"10명 중 1명 경험"
- 김흥국 "개만도 못해, 필요할 때 찾고 끝나면 모르쇠…尹면회 안갔다고 욕만 잔뜩"
- "기절하겠다" 전원주, 2억에 산 구기동 집 42억 됐다…초대박
- 자녀 캐나다 유학 따라가자 이혼해버린 남편…"나 몰래 어떻게 이럴 수가?"
- "야근 후 3개월간 공짜로 택시 얻어 탄 선배…'밥 한 끼 사려고 했다'" 황당
- 소방차 김태형, 아내와 사별…안무가 출신 김경란씨 사망
- "넌 자주 가잖아"…매년 시부모와 해외여행 약속하자는 예비신랑 '최악'
- 폐경 검사하다 임신 5개월 알게 된 40대 "남편은 무정자증"…친자 맞았다
- 감옥 안 가려 3번 임신…회삿돈 횡령, 징역 3년6개월 받고도 석방
- "입덧 심해 밥도 못 먹는데…반찬 챙겨준다며 집에 오는 시모, 불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