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 입원수가 1일 3만∼15만원 가산…24시간 진료 당직비용 지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종합병원(2차병원)의 중환자실 입원 수가를 1일당 정액으로 3만∼15만원 더해주고, 응급실 내원 24시간 이내의 응급수술에 가산 수가를 지급하는 내용의 '포괄 2차 종합병원' 육성안을 내놓았다.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와 보건복지부는 16일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발표했다.
2차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후 24시간 이내에 행해진 응급수술 수가는 연간 1100억원을 들여 가산율을 인상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월 사업자 선정, 내년부터 성과평가 실시
정부가 종합병원(2차병원)의 중환자실 입원 수가를 1일당 정액으로 3만∼15만원 더해주고, 응급실 내원 24시간 이내의 응급수술에 가산 수가를 지급하는 내용의 ‘포괄 2차 종합병원’ 육성안을 내놓았다.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와 보건복지부는 16일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발표했다. 앞서 지난달 정부는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을 발표하며, 지역 대부분의 의료문제를 해결하는 진료역량을 갖추고 응급 등 필수기능을 수행하는 종합병원을 육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해 3년간 건강보험 재정 2조원을 들여 중환자실 수가를 올리고 응급의료 행위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기로 했다.
우선 중환자실 수가를 인상하는 데 연간 1700억원을 투입한다. 중환자실 수가는 기관별 적정성 평가 결과와 연동돼 입원 1일당 정액으로 가산한다. 적정성 평가 1∼2등급은 15만원, 3등급은 9만원, 4등급은 3만원을 가산한다는 구상이다. 2차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후 24시간 이내에 행해진 응급수술 수가는 연간 1100억원을 들여 가산율을 인상한다. 권역·전문응급의료센터와 권역외상센터는 50%, 지역응급의료센터는 150% 가산된다. 포괄 2차병원의 24시간 진료를 위해 의료진 당직·대기 비용 지원에 연간 2천억원을 투입한다.
총 지원금의 30%는 병원의 기능혁신 성과 평과 결과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된다. 성과지표로 전문진료질병군(DRG-A)보다 중증도 등이 덜한 일반진료질병군(DRG-B), 상급종합병원 회송환자, 응급환자 비중, 24시간 진료를 제공할 수 있는 진료과목 수, 지역 내 환자 비중 등을 살펴볼 예정이다. 진료 의뢰·회송 등 협력 성과, 협력 지역병원 및 지역 1차의료 의원에 대한 시스템 개선 지원 등 기반 조성, 중증화 보정 사망비(급성기 입원환자의 중증도를 보정한 기대 사망자 수와 실제 사망자 수를 비교한 수치)·재입원비·진료비 등을 종합한 진료 효과·효율성 등도 평가지표에 포함된다.
정부는 다음달 사업 대상을 선정하고 오는 7월 본격 지원에 돌입해 내년부터 성과평가를 실시할 계획이다.
손지민 기자 sjm@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최상목 “휴대전화 안 바꿨다”더니…5분 만에 위증 ‘들통’
- 경찰, 대통령실 6번째 압수수색 시도…경호처와 5시간 대치 중
- 하늘서 29살 됐을 세월호 너희들…꿈에서라도 소식 알려줘
- 이재명 후원금 하루새 29억 한도 채워…“10만원 미만이 99%”
- [단독] ‘MBC 자회사 주식’ 보유한 이진숙, 이해충돌 심사 중에 재허가 관여
- 오바마, ‘트럼프에 저항’ 하버드 지지…대학가 커지는 반정부 목소리
-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 유력…증원 이전 수준
- “국민여러분! A4용지가 ‘쪽지’랍니다”…최상목 ‘황당 답변’에 민주 ‘대폭발’
- [뉴스 다이브] 검찰개혁 밑그림 밝힌 이재명과 ‘반명’만 외치는 국힘 주자들
- 오늘 4시16분 잠시 멈춤…기억은 강합니다, 세월호 11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