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도공 '매화산단 지식센터' 신규 투자사업 사실상 '좌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흥도시공사(공사)가 2021년부터 추진한 '매화산단 지식산업센터 건립 신규 투자사업'이 4년 만에 사실상 좌초 위기에 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지방공기업법 등을 근거로 공사채 160억원을 발행하는 내용의 '매화산단 지식산업센터 건립 신규 투자사업' 동의안을 2022년 4월 시의회에 상정해 통과시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간사업자 계약 포기까지... 공사 “여러 사정상 추진 어려워”
市 “적절한 대안 마련하겠다”
시흥도시공사(공사)가 2021년부터 추진한 ‘매화산단 지식산업센터 건립 신규 투자사업’이 4년 만에 사실상 좌초 위기에 처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방채 발행에 대한 시의회 동의까지 받아 진행하던 민관 공동사업이 무산돼 경제적 타당성을 예측하지 못한 데 따른 책임 소재가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공사는 사업지에 멸종위기 2급 ‘맹꽁이’가 발견되면서 사업주체인 매화산단개발㈜과 맹꽁이 이주 과정에서 발생한 억대 비용 부담 여부를 놓고 법적 공방까지 벌이고 있어 논란(경기일보 16일자 10면)이다
16일 시와 시의회, 공사 등에 따르면 공사는 2021년부터 매화일반산업단지 A4-1블록(매화동 845-1번지) 8천101㎡를 시로부터 110억원에 사들여 사업비 888억원을 투입, 지난해 말 사업 준공을 목표로 지식산업센터(지하 1층, 지상 9층) 건립 사업을 추진해 왔다.
민관 공동사업으로 공사는 매화산단 지식산업센터 건립사업 민간사업자 공모를 통해 2021년 12월 동부건설㈜을 우선협상대상자 선정했다.
이어 지방공기업법 등을 근거로 공사채 160억원을 발행하는 내용의 ‘매화산단 지식산업센터 건립 신규 투자사업’ 동의안을 2022년 4월 시의회에 상정해 통과시켰다. 동의안에는 공사채 발행일로부터 3년 이내 분양수입대금으로 상환하기로 돼 있다.
당시 김창수 시의원이 ‘경제적 타당성이 1 이하로 나온 것’에 대해 추궁하자 정재웅 공사 본부장은 “분양수익금이 86억원 정도 나온다. 사업에 대한 수익성은 문제가 없다”고 답변한 바 있다.
공사는 이듬해인 2022년 11월 시와 토지매매계약을 맺고 계약금 11억원을 시에 납부했지만 이후 공사비 상승 요인 등 경제 상황이 나빠지면서 토지 소유권도 확보하지 못한 채 사업 추진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더해 2023년 8월 사업지에서 맹꽁이까지 발견되면서 사업 추진이 어렵자 민간사업자인 동부건설이 사업을 포기하는 단계까지 이른 것으로 파악됐다.
공사는 최근 시에 공유재산매매계약서 합의해지 요청공문을 보냈다. 동부건설의 계약 포기로 협약이행보증금 81억원을 몰취(沒取)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공사 관계자는 “여러 사정상 사업 추진이 어려워진 건 맞다”며 “자세한 사항은 보안상 답변이 어렵다”고 해명했다.
시 관계자는 “계약 해지와 관련 변호사에게 자문 중이다. 적절한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시흥도시공사·시흥매화산단개발㈜, 억대 ‘맹꽁이 소송’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415580187
김형수 기자 vodokim@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천대 의대, 해외 의대 교환학생에게 한국 차 문화 알려
- ‘의장선거 인증샷 주도’ 국힘 성남시의원 첫 재판 혐의 부인
- '2027~2028 경기도종합체육대회' 오산서 개최한다
- 인천 강화군, 강화천문과학관서 천문학자 초청 강연 등 다채로운 행사 마련
- 인천 중고차수출단지 컨테이너 화재…인명 피해 없어
- 안양시의회 도시건설위, 수암천 정비사업 및 동탄~인덕원 복선전철 1공구 현장 방문
- 밝고 쾌활했던 60대 여성, 4명에게 생명 나누고 떠나
- 이제 '술타기' 꼼수 안 통한다…강력 처벌
- [단독] 근무시간에 부면장 불러 수차례 뺨 때린 양평지역 체육회장
- 인천 연수구, 인천시 지방세입운영 종합평가 3년 연속 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