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성 단백질 vs 동물성 단백질, 101개국 기대수명 보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두부와 같은 식물성 단백질을 더 많이 섭취하는 국가의 사람들이 소고기나 소시지 등 동물성 단백질 섭취 비중이 더 높은 나라 국민보다 기대 수명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식물성 단백질 소비량이 더 큰 국가가 동물성 단백질소비 비중이 높은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대수명이 더 길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저명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연구 결과를 발표한 호주 시드니 대학교 찰스 퍼킨스 센터(의학 연구소) 연구자들은 세계 101개국의 1961~2018년 식량공급 및 인구 통계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자들은 각국의 경제 수준, 인구 규모 등을 조정해 국민이 섭취하는 단백질 종류가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했다. 기대 수명은 0세 출생자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를 가리킨다.
“5세 미만 아동의 경우, 육류, 계란, 유제품과 같은 동물성 단백질과 지방을 다량 공급하는 식품 체계가 유아 사망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인의 경우, 식물성 단백질 섭취가 전체 기대 수명을 증가시키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라고 제1저자인 케이틀린 앤드류스(Caitlin Andrews) 연구원(박사과정 학생)이 말했다.
어떻게 연구 했나?
의료전문 매체 메디컬 익스프레스에 따르면 연구진은 식물성 단백질 중심 식단과 동물성 단백질 중심 식단이 인간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60년 간 101개국에 이뤄진 식량 공급 공개 데이터를 분석했다. 데이터에는 국가별 식량 생산량과 1인당 하루 소비 가능한 칼로리, 단백질, 지방의 양 등이 포함됐다.
연구진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식물성 단백질 소비량이 더 큰 국가가 동물성 단백질소비 비중이 높은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대수명이 더 길었다.
연구에 따르면 가공육을 포함해 동물성 단백질의 과다 섭취는 심혈관 질환, 제2형 당뇨병, 특정 유형의 암(대장암 등) 등 만성 질환 발병과 관련이 있다.
장수 지역을 가리키는 이른바 블루 존(blue zone)은 지구촌에서 가장 건강하게 오래 사는 곳으로 알려졌다. 일본 오키나와, 이탈리아 사르데냐, 그리스 이카리아, 미국 캘리포니아 로마 린다 등이 대표적이다. 이곳 주민은 대개 식물성 식단을 선호한다.
“식물성 단백질이 장수와 관련이 있다는 지식은 우리의 식단이 우리 자신의 장수뿐만 아니라 지구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정말 중요하다”고 책임 저자인 퍼킨스 센터의 알리스테어 시니어 박사가 말했다.
박해식 기자 pistols@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교육부 물러서나…내년도 의대 정원 ‘증원 이전 3058명’ 가닥
- [이진영 칼럼]여전히 미덥잖은 이재명
- “오세훈 공약 받아 내가 실천”…러브콜 보내는 국힘 주자들
- 꺼지지 않는 ‘한덕수 단일화론’…국힘 주자들 “인물 없나” 견제
- 또 한국 패싱…美국무 동아태 고위관리, 日·베트남 등 순방
- 바이든 “트럼프, 사회보장에 도끼질”…퇴임 후 첫 연설서 직격탄
- 용인 일가족 5명 살해한 50대, 사기 혐의로 수사받던 중 범행 저질러
- 서부지법 난입 혐의 다큐감독 “촬영 때문” 공소취소 요청
- 대선주자 ‘밈 홍보’ 후끈…콘서트 영상에 자막놀이, 아이언맨 등장도
- “쥴리 스펠링은 아는지”…‘김건희 명예훼손 혐의’ 진혜원, 항소심도 무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