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단 궤적이 곧 장르의 역사…‘60돌 유산’ 내세운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임석규 기자 2025. 4. 16. 15: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악관현악은 창극, 사물놀이와 마찬가지로 20세기 들어 새로 만들어진 장르로, 1965년 3월2일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출범이 그 시발점이다.

"말 그대로 과거 유산을 현대로 끄집어내 새로운 미래를 열어보자는 거죠." 이 감독은 "기업, 스포츠 구단의 헤리티지 마케팅처럼 최장수 국악관현악단이란 유산을 활용하고 싶어 붙인 이름"이라며 웃었다.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출범 이후 전국 여러 자치단체가 앞다퉈 국악관현악단을 만들어 현재 국공립 국악관현악단이 30여개에 이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8일 세종문화회관서 60돌 기념공연 ‘헤리티지’
이승훤 지휘자, 최지혜·이지수 작곡가 인터뷰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창단 60돌 기념 공연 ‘헤리티지’ 포스터 앞에서 포즈를 취한 이승훤 예술감독(오른쪽부터)과 위촉곡을 만든 최지혜·이지수 작곡가. 세종문화회관 제공

국악관현악은 창극, 사물놀이와 마찬가지로 20세기 들어 새로 만들어진 장르로, 1965년 3월2일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출범이 그 시발점이다. 60돌을 맞은 이 악단이 오는 18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기념 공연 ‘헤리티지’를 마련한다. 국악관현악 장르의 역사와 궤적을 같이해왔다는 점을 강조해 ‘유산’을 공연 이름으로 내세운 것. 지난 15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이승훤(44) 예술감독(지휘자)과 위촉곡을 만든 최지혜(49), 이지수(44) 작곡가를 만났다.

“말 그대로 과거 유산을 현대로 끄집어내 새로운 미래를 열어보자는 거죠.” 이 감독은 “기업, 스포츠 구단의 헤리티지 마케팅처럼 최장수 국악관현악단이란 유산을 활용하고 싶어 붙인 이름”이라며 웃었다. 그가 지난해 예술감독에 응모할 때부터 ‘장르의 새 길을 여는 이정표’로 기획해 지원서에 넣은 내용이다. 지난해 예술감독 취임 이후 지휘하는 첫 공식 무대다.

1부에선 과거 유산을 상징하는 곡들을 선보인다. 첫 곡 김영동 작곡 ‘단군신화’는 민족적 정체성을 아악과 민속음악 선율을 융합해 담아낸 작품. 김영동(74)은 1993년부터 6년 동안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을 이끌었다. ‘침향무’는 작곡가 황병기(1936~2018)가 가야금 독주곡으로 발표했다가 국악관현악을 위한 협주곡으로 편곡했다. 가야금 산조에 현대 작곡 기법을 입혀 국악관현악의 지평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으며 지금도 대중에게 사랑받는 곡이다.

뮤지컬 배우 카이(44)의 ‘너의 아리랑’, ‘아름다운 나라’로 문을 여는 2부에선 위촉 창작곡 2곡을 초연한다. 작곡가 최지혜의 ‘미월’은 민요 ‘상주아리랑’ 선율을 국악관현악으로 풀어낸다. 국악기에 더해 트롬본과 호른, 튜바 등 저음 관악기들을 배치했다. 최 작곡가는 “차후에도 국악관현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서양 악기들을 빼도 무방하게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60돌을 맞은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이승훤 예술감독(오른쪽부터)과 최지혜·이지수 작곡가. 세종문화회관 제공

영화 ‘왕의 남자’, ‘남한산성’, ‘올드보이’ 등의 음악을 만든 이지수 작곡가의 ‘개벽의 강’도 첫선을 보인다. “따뜻하고 벅찬 감정으로 시작해 중반부엔 갈등과 분열 속에 물살이 치는 분위기로 흐르죠. 마지막엔 모든 것들이 하나로 모이면서 새로운 시대를 여는 여정을 담아내고 싶었어요.” 지난해 11월 위촉받은 작품이라 공교롭게도 작곡 시기가 계엄과 탄핵 등 혼돈의 정치 상황과 겹친다. 이 작곡가는 “분열과 혼돈의 시대를 지나, 다시 하나 되어 새로운 시대를 열고자 하는 염원을 담은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출범 이후 전국 여러 자치단체가 앞다퉈 국악관현악단을 만들어 현재 국공립 국악관현악단이 30여개에 이른다. 하지만 양적 팽창과 달리 대중의 관심은 창극·사물놀이에 견줘 낮은 편이다. 세 사람은 창작곡 부족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이 감독은 “한때 국악기로 연주하는 대중음악 같은 음악이 나오더니 나중엔 일반 관객은 듣기 어려운 학구적인 음악들이 쏟아졌다”며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면서 관객과 떨어지지 않는 곡들을 만들어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 작곡가는 “전통음악엔 재치와 익살이 있고 흠뻑 취해 질펀하게 놀 수 있는 요소가 많은데, 그걸 끌어와 정교하게 구현하는 게 중요하다”고 짚었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