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년 기관사 일하며 난청 생겨"…법원, 보험금 소송 기각한 이유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수십년간 선박의 기관사로 일했던 전직 선원이 선박의 소음 탓에 난청을 얻었다며 보험금 소송을 냈지만 패소했다.
법원은 해당 선원이 어떤 선박에서 질환을 얻었는지 특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선박이 가입한 재해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할 수는 없다고 봤다.
KP&I 측은 "A씨가 승선한 모든 선박 근무가 난청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인데, A씨의 B사 선박 근무 기간은 6개월"이라며 "마지막 근무지라는 이유로 보험금을 청구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험금 7000만원 청구했지만
法 "책임 선박 특정 안 돼" 기각
수십년간 선박의 기관사로 일했던 전직 선원이 선박의 소음 탓에 난청을 얻었다며 보험금 소송을 냈지만 패소했다. 법원은 해당 선원이 어떤 선박에서 질환을 얻었는지 특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선박이 가입한 재해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할 수는 없다고 봤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법 민사12단독 박지숙 판사는 전직 기관장인 A씨가 한국선주상호보험조합(KP&I)을 상대로 낸 보험금 소송에서 최근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
A씨는 1982년부터 2018년까지 약 25년간 화물선 등에서 기관장 경력을 쌓은 베테랑이었다. 기관장이란 선박 유지보수와 내부 기기 관리를 맡는 선박 기관부의 장(長)을 말한다. 선박 일을 그만둔 A씨는 2023년 3월 한 대학병원에서 '감각신경성 청력손실(난청)'을 진단받았다. 병원은 "직업적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는 소견을 냈다.
이후 A씨는 KP&I를 상대로 보험금 약 7000만원을 청구하는 소송을 냈다. A씨가 마지막으로 근무했던 선박을 소유한 B 선사가 KP&I와 재해보험을 맺었기 때문이다. A씨 측은 '여러 사업장을 옮겨 다닌 근로자의 업무상 질병은 전체 근무 경력을 종합해 판단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례를 근거로 들었다. A씨의 난청은 산재보상보험법상 장해등급 9급에 해당했다.
KP&I는 보험금 청구 대상이 잘못됐다고 맞섰다. A씨 근무 경력 중 KP&I와 재해보상보험 계약을 맺은 곳은 B사뿐인데, 보상 책임은 선사가 가입한 각 보험사에 있다는 취지다. KP&I 측은 "A씨가 승선한 모든 선박 근무가 난청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인데, A씨의 B사 선박 근무 기간은 6개월"이라며 "마지막 근무지라는 이유로 보험금을 청구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법원은 KP&I 주장을 받아들였다. A씨의 근무 경력과 난청 발병 간 인과관계가 뚜렷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박 판사는 "B사 선박 근무 기간은 A씨가 과거 승선했던 선박에 비해 짧고, A씨 역시 대학병원에서 '귀마개를 착용하는 근무환경이 정착됐다'는 취지로 진술했다"며 "A씨가 실제로 B사 선박에서 노출된 소음은 실제로 더 낮았을 수 있다"고 했다.
A씨가 B사 근무 이전에 난청을 얻었을 가능성도 있다는 판단이다. 박 판사는 "A씨가 과거 근무했던 선박 중에는 최대 1만7000t급도 있었고 대체로 B사 선박(992t)보다 큰 대형 화물선이었다"며 "이미 강도 높은 소음에 장기간 지속해서 노출됐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A씨 측이 주장한 대법원 판례에 대한 해석도 달랐다. 당시 대법원은 산재보험법을 기준으로 판단한 것이지만, 이번 사건은 선원법상 재해보상이 문제가 됐다는 설명이다. 박 판사는 "B사 선박 승선 이전에 난청이 발병했을 수도 있는 상황에서 KP&I에 보상 의무를 인정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박시온 기자 ushire908@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성전자 주식은 팔더니…"돈 버는데 사야죠" 15조 쓸어 담았다 [김익환의 부처 핸즈업]
- 8년 전 분양가로 '전국민 줍줍' 나왔다…"32평이 3억대"
- "너무 싸잖아"…日 관광객들 한국서 앞다퉈 사간다는 '이것'
- "1억 넣었으면 4000만원 벌었다"…역대급 수익률에 '우르르' [분석+]
- '연예인 車' 나도 타보자…신차 나오자마자 '관심 폭발' [현장+]
- 304명 목숨 앗아간 세월호 참사 원인, 11년만에 밝혀졌다
- "다 바꾸겠습니다"…백종원 더본코리아, 끝없는 논란에 결국
- '직원들 피눈물 나겠다'던 9900원 빵 뷔페…직접 가보니 [현장+]
- '참치캔 1위' 갑자기 상장폐지라니…동원 F&B, 무슨 일
- 26억에 팔렸었는데…잠실 아파트, 두 달 만에 가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