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發 ‘한국형 챗GPT’ 논쟁 가열… K엔비디아 시즌2 vs 토종 플랫폼 육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의 '한국형 챗GPT' 공약을 두고 정치권 공방이 거세지고 있다.
국민의힘 안철수 예비후보가 이 후보 공약을 두고 "AI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제발 모르면 좀 가만히 계시라"고 일침을 놓고 같은 당 한동훈 예비후보도 나서 "배달앱처럼 뚝딱 만들 수 있는 게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의 ‘한국형 챗GPT’ 공약을 두고 정치권 공방이 거세지고 있다. 국민의힘 안철수 예비후보가 이 후보 공약을 두고 “AI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제발 모르면 좀 가만히 계시라”고 일침을 놓고 같은 당 한동훈 예비후보도 나서 “배달앱처럼 뚝딱 만들 수 있는 게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친이재명계인 민주당 김병욱 중앙당 후원회장은 “망둥어가 뛰니 꼴뚜기도 뛰는 격으로 발목을 잡고 있다”고 맞대응에 나섰다.
한 후보는 이날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정말 AI 문제를 잘 모르시는 거 같다”며 “그렇게 쉬우면 미국과 중국이 왜 이리 경쟁하겠는가”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발상 자체가 돈 뿌리는 것과 경기도 시절 배달앱 만드는 발상에 갇혀있다”며 “GPU(그래픽처리장치)를 집중적으로 AI센터 등에 공급하고 지적재산권 문제를 해결하며, 인재들이 들어올 파격적이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친명계인 김 회장은 이와 관련 토종 AI플랫폼 육성으로 맞대응했다. 김 회장은 이날 자신의 SNS에 “전 국민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한국형 챗GPT’를 구축해 해외 독점을 막아야 한다”며 “국내에서 제대로 된 AI플랫폼이 자리 잡지 못하면 우리 데이터·산업·비즈니스는 외국 기업 손아귀에 들어갈 위험이 크다”고 썼다. 특히 선점에 따른 영향력이 큰 플랫폼 경제 특성을 거론하며 “한 번 특정 플랫폼에 몰리면 그 점유율을 뒤집기는 매우 어렵다”라며 “카카오톡과 네이버 사례처럼 국내 이용자의 요구에 딱 맞춰 신속히 대응하면 해외 빅테크가 침투할 틈을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현우 with@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은지원, 숨겨진 가정사 고백 “아버지 살아생전 겸상도 안 했다”
- “밤에 2번 이상 깨면 위험 신호?…‘이것’ 때문이었다”
- 18만원이 없어서 군대 면제받았는데 지금은 연 55억 버는 男배우
- 13년 만에 밝힌 진실…오정연·서장훈이 직접 공개한 두 사람의 이혼 사유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