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판사 앞 이런 말까지…유독 관대한 '지귀연 재판부'

연지환 기자 2025. 4. 15. 19:0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어제(14일) 저녁 끝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첫 형사재판 소식으로 이어가겠습니다. '구속 취소'를 해준 재판부가 재판 과정에서도 윤 전 대통령에게 특혜를 주고 있단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앞선 전직 대통령들 재판과는 달리 예외가 반복되고 있단 지적이 나오는 겁니다.

먼저 연지환 기자입니다.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은 첫 재판에서 모두발언을 82분간 했습니다.

검찰이 진행한 PPT보다 20여 분 더 길게 한 겁니다.

하지만 재판부는 적극적으로 제지하진 않았습니다.

오후 재판에서 발언이 20분을 넘어갈 때쯤 재판부가 정리를 요청하자, 윤 전 대통령은 "건너뛰면서 중요한 것만 말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이에 재판부가 "자르겠다는 게 아니라 염두에 둬 달라는 것"이라고 했고, 윤 전 대통령은 다시 발언을 이어갔습니다.

본격적인 심리에 앞서 피고인의 이름과 직업, 주소를 확인하는 인정신문 때도 이례적인 장면이 연출됐습니다.

재판부는 "직업이 전직 대통령이냐"고 직업을 대신 언급해줬고, 윤 전 대통령은 대답 없이 고개만 끄덕였습니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은 첫 재판에서 "무직이다"라고 직접 말했고, 1년 뒤 이명박 전 대통령 역시 "무직"이라고 짧게 답했지만 이번엔 달랐던 겁니다.

윤 전 대통령은 증인신문 도중에도 여러 번 끼어들었습니다.

"헌재에서 다 했다"거나 "이 질문이 굳이 나와야 하냐", "순서도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많다"며 껴든 겁니다.

앞서 헌재는 탄핵심판 때 윤 전 대통령이 증인에게 직접 질문하는 걸 막았습니다.

[윤석열/전 대통령 (지난 2월 13일 / 탄핵심판) : 제가 좀 본인이 직접 물을 수는 없게 돼 있습니까.]

[김계리/윤석열 전 대통령 대리인 (지난 2월 13일 / 탄핵심판) : 규정의 근거가 뭔지. 근거를 들어주십시오.]

[문형배/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지난 2월 13일 / 탄핵심판) : 법적 근거는 소송지휘권 행사입니다.]

형사 재판 막바지에 윤 전 대통령은 증거목록과 공소장이 난잡하다며 "이래갖고 재판이 되겠냐"고 따졌고 재판부는 "재판부의 노고를 알아 달라"고 답했습니다.

앞서 법정 촬영을 불허한 것을 놓고 '특혜 시비'가 불거졌는데, 재판 진행도 시작부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홍승재 / 영상편집 박수민 / 영상디자인 이정회]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