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약 없는 복구시점…적막감만 감도는 광명지역 대피소 [현장, 그곳&]

한준호 기자 2025. 4. 15. 18: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5일 오전 10시께 광명시 하안동 광명시민체육관.

신안산선 지하철 공사 현장 붕괴 사고 직후 주민 대피소로 지정된 이곳은 적막함만이 감돌았다.

시 관계자는 "포스코이앤씨 측이 대피 주민들의 숙박비를 사후 정산하겠다고 밝히면서 모두 돌아간 상태"라며 "하지만 추가 붕괴 가능성이 제기돼 시의 대피 명령이 해제될 때까지 대피소 운영을 유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사고 닷새째를 맞은 붕괴 현장은 궂은 날씨가 잦아들면서 매몰된 실종자 구조 작업에 분주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피해 주민 200여명, 인근 숙소 이동, 추가 붕괴 가능… 대피소 운영 유지
15일 오전 광명시 하안동 광명시민체육관. 지난 11일 사고 이후 주민 대피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 이곳은 주민들이 인근 숙박업소로 이동하며 텅 비어있다. 한준호기자


15일 오전 10시께 광명시 하안동 광명시민체육관. 신안산선 지하철 공사 현장 붕괴 사고 직후 주민 대피소로 지정된 이곳은 적막함만이 감돌았다.

사고 직후인 지난 11일만 해도 200여명의 주민으로 북적였지만 이튿날 모두 인근 숙소로 떠났고, 지난 13일 추가 대피한 30여명은 첫 행선지를 숙소로 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체육관에는 여전히 구호단체의 구호 텐트 20여동, 각종 구호물품이 비치됐고 광명시 공무원들이 혹시 찾아올 지 모를 주민을 기다리고 있었다.

시 관계자는 “포스코이앤씨 측이 대피 주민들의 숙박비를 사후 정산하겠다고 밝히면서 모두 돌아간 상태”라며 “하지만 추가 붕괴 가능성이 제기돼 시의 대피 명령이 해제될 때까지 대피소 운영을 유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15일 오전 광명 사고 현장 인근 한 초등학교에서 관계자들이 지표 투과 레이더를 활용해 지반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준호기자


비슷한 시간 사고 현장 인근 한 초등학교. 학생들이 가득 차 있을 시간이지만 안전을 위해 전날부터 휴교에 들어간 탓에 정문은 굳게 닫혔고, 외부인 출입이 통제되고 있었다.

특히 정문 초입에서는 광명교육지원청, 국토안전관리원, 한국교육기술안전원 관계자 등이 지표 투과 레이더(GPR) 장비를 활용해 정밀 지반 검사를 진행하고 있었다.

붕괴 사고 이후 학교 운동장 일부에서 균열이 발견됐기 때문인데, 학교 안전에 이상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경기도교육청은 “학교장, 운영위원회 회의를 통해 16일 등교를 재개한다”고 밝혔다.

광명 신안산선 복선전철 공구 붕괴 사고 현장. 크레인이 사고 잔해를 옮기는 가운데 소방, 구급차량이 대기하고 있다. 한준호기자


사고 닷새째를 맞은 붕괴 현장은 궂은 날씨가 잦아들면서 매몰된 실종자 구조 작업에 분주했다. 대형 크레인 두대가 H빔과 철근 등 잔해를 들어 올렸고, 굴착기 두 대는 지반 안정화 작업에 여념이 없었다.

홍건표 광명소방서 화재예방과장은 현장 브리핑에서 “어제(14일) 밤새 중장비 진입로 확보, 구조견 투입 등 인명 수색을 진행했지만 실종자를 찾지 못했다”며 “실종자 A씨가 교육동 컨테이너에 있었다는 목격자 진술을 확보했지만 단정할 수 없는 상황. 실종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구역 정리가 마무리되는 대로 집중 수색을 전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소방 당국은 A씨가 지하 35~40m 구간에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날 약 20m 지점까지 진입로를 확보했다.

한편,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이 확보한 ‘신안산선 복선전철 민간투자사업 환경영향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붕괴된 5-2공구 현장에서는 하루에 1천626t의 지하수가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 1천600여t의 물을 퍼내며 공사를 전개했다는 의미로, 지하수가 모래질 토양을 쓸어내 붕괴 원인을 제공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준호 기자 hjh1212@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