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경상대, 리튬금속전지 안정성 높인 나노 입자 전해질 기술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팀이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리튬 금속 전지의 낮은 수명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나노 입자 전해질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진우·최남순 교수, 경상국립대 이태경 교수 공동 연구팀이 리튬 금속 전지의 성능과 수명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입자 전해질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전ㆍ충남=뉴스1) 양상인 기자 = 국내 연구팀이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리튬 금속 전지의 낮은 수명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나노 입자 전해질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진우·최남순 교수, 경상국립대 이태경 교수 공동 연구팀이 리튬 금속 전지의 성능과 수명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입자 전해질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리튬 금속 전지는 음극재로 흑연 대신 리튬 금속을 사용해 최고 수준의 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어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다.
다만 실제 사용할 경우 전지 수명이 급격히 짧아지고 고전압 환경에선 부식 문제가 발생해 상용화가 어려웠다. 기존 해결책인 불소계 첨가제는 비용이 많이 들고 환경 오염을 일으켜 한계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비불소계 물질인 '나노 질화규소'를 전해질에 첨가하는 새로운 방식을 고안했다. 나노 입자 전해질이 리튬 이온의 이동을 안정화하고 배터리 내부에 고르게 얇은 보호막을 형성해 성능을 높였다.
또 질화규소가 전해질 분해로 발생하는 유해한 불화수소를 효과적으로 억제해 부식을 방지했다.
나노 입자 전해질 적용한 리튬 금속 전지는 실제 사용 환경인 50도의 고온과 4.5볼트의 고전압 조건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장기간 유지했다.
특히 100회 연속 충전 및 방전 실험에서 74%의 용량을 유지하며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했다.
이진우 교수는 “비불소계 나노 입자 첨가제를 사용해 파우치형 배터리에 적용한 첫 연구”라며 “리튬 금속 전지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분야 국제학술지 ’에너지 앤 인바이런멘탈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ysaint8609@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혼인신고 후 7년째 가출한 필리핀 아내…비자 연장 때만 연락, 이혼 되나요"
- 편의점서 50대 여성 손님 망치로 폭행, 두개골 골절시킨 20대 체포
- "교통사고로 친구 결혼식 불참…축의금 더하고 선물했는데 절연 당해" 시끌
- '금주 행사' 적힌 알림장 본 학부모 "애들이 술 마시나요?" 문해력 논란
- 돌 위에 10초 앉았다가 엉덩이 3도 화상…"피부 조직 전체 괴사" 충격
- 박서진 "부모님 위해 200평대 3층집·건어물 가게 구입"
- "2년간 양육비 안 준 남편, 두 아이 '민생지원금' 챙겨 피시방" 아내 분통
- "남자아이라 운전대만 보면 환장"…자녀 운전석 앉혀 공개한 엄마 몰매
- 아빠가 몰고 나오던 차에 치여…한살배기 딸 사망
- "정신병 있는 애랑 만나지 마" "얼굴이 이거밖에 안돼"…시모 탓 이혼 시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