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새 아파트 절반이 '빈집'…3월 입주율 '역대 최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3월 지방 새 아파트 입주율이 55.1%에 그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10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3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59.8%로, 전월 대비 10.6%포인트(p) 하락했다.
수도권 입주율은 전월 대비 1.3%p 상승한 80.2%로 집계됐지만, 비수도권은 55.1%로 조사 이래 역대 최저 입주율을 기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홍세희 기자 = 3월 지방 새 아파트 입주율이 55.1%에 그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10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3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59.8%로, 전월 대비 10.6%포인트(p) 하락했다.
수도권 입주율은 전월 대비 1.3%p 상승한 80.2%로 집계됐지만, 비수도권은 55.1%로 조사 이래 역대 최저 입주율을 기록했다.
비수도권에서 5대 광역시는 69.6%에서 49.6%로 20.0%p 대폭 하락했고, 기타 지역도 67.4%에서 59.3%로 8.1%p 하락했다.
특히, 대전·충청권(73.0%→51.7%), 제주권(75.7%→57.0%), 대구·부산·경상권(69.1%→58.3%) 입주율이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대전·충청권, 제주권, 대구·부산·경상권은 대출 애로와 공급과잉에 따라 아파트 매매와 전세가격 하락이 지속되면서 입주율이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미입주 원인은 잔금대출 미확보(37.9%→31.5%)와 세입자 미확보(19.0%→13.0%)는 감소했지만, 기존주택 매각 지연(31.0%→40.7%)과 분양권 매도 지연(5.2%→7.4%)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시장 불안 기조와 다주택자 규제로 매수세가 서울과 일부 수도권으로 집중되고 있어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양극화 현상 심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지방의 다주택자 대출 규제 완화, 세제 및 금융지원 등 지방 주택거래 수요진작을 위한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달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13.7p 상승한 87.5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14.0p(72.4→86.4), 광역시는 20.3p (71.9→92.2), 도 지역은 8.6p(75.9→84.5) 상승할 것으로 조사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hong1987@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제총기로 아들 살해한 아버지, 도주 끝 서울서 검거(종합2보)
- 김수미 며느리 서효림 폭우 피해 "산사태로 고립됐다"
- 헤이지니, 출산 5일만에 안타까운 소식…"마음 찢어져"
- 금속 목걸이 한 채 MRI실 들어간 60대男…기계에 끌려 숨져
- 결혼 약속한 여친 하반신 마비…사고 낸 남친 잠적
- '대만서 눈물' 치어리더 이주은, 몸 곳곳에 안쓰러운 '상처'
- 폭우에 이동건 제주 카페도 물바다
- "팔 부러질 만큼 맞았는데… '배우 출신' 남편이 무고죄 맞고소"
- '이혼 후 임신' 이시영, 볼록 나온 배…아들과 韓 떠났다
- 이란, 성폭행 혐의 남성 3명 사형 집행…교도소서 새벽 교수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