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국민연금처럼 굴린다? '기금형' 본격화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2005년 12월 도입돼 시행 20년을 맞은 퇴직연금 제도.
사실상 '묻어둔 돈'처럼 운용돼 온 수익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폴트옵션'과 '실물이전' 등 보완이 이뤄졌지만,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한국형 '기금형' 퇴직연금 제도 도입을 본격 추진합니다.
이건 또 어떤 제도일까요?
오수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가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을 본격화했습니다.
지난해 국회가 발의한 법안을 보완해 한국형 모델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 용역에 착수했습니다.
기존 제도의 낮은 수익률 문제가 기금형 도입을 추진하는 결정적 이유입니다.
지난 10년간 개인퇴직연금의 연 환산 수익률은 2.07%에 불과합니다.
물가상승률에 턱없이 못 미쳐, 실질수익률은 마이너스인 셈입니다.
현재 계약형 퇴직연금은 은행이나 보험사 같은 금융회사가 운영하며, 가입자가 직접 상품을 선택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투자 지식이 부족한 가입자가 수익률이 낮은 상품에 묻어두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기금형 퇴직연금은 독립된 기금 법인이 돈을 모아 대신 운용하며, 전문가가 포트폴리오를 관리해 수익률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윤석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명예연구위원 : 기금형으로 제도를 개편해 갈 경우는 가입자 개인의 관심 유무와 관계없이 적극적·효과적으로 퇴직연금을 관리할 수 있다. 두 번째는 규모의 경제 측면에서 지금보다 수익률 제고가 가능하다….]
다만 기금형은 수탁법인에 수수료를 줘야 해 별도의 비용을 내게 됩니다.
원금 손실 위험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수탁법인은 법률상 금융사가 아니기 때문에 정부나 금융당국의 상시 감독이 어렵다는 맹점도 남습니다.
이 때문에 '계약자 보호'를 위한 충분한 수단을 갖춘 뒤 도입해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7년 전 이미 한번 도입에 실패해 본 정부는 이번엔 국회와 협력해 연내 법안 발의까지 하겠다는 계획입니다.
SBS Biz 오수영입니다.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연 이자 100% 넘으면 원금·이자 무효…"법령상 최초"
- 웃지 못하는 삼성전자…관세공포 직격탄 우려
- 나라살림 105조 적자…빚으로 돌아올 추경
- 관세·민생에 '10조 추경'…이달 처리 '불투명'
- 환율 주간 종가 1473.2원…금융위기 이후 최고
- 발등 불 떨어진 한화, 에너지 1.3조원 유증…승계 논란 불식은 글쎄
- "회식도 안하고 여행도 안 가요"…카드 사용액 '뚝' 소비부진 지속
- 삼성전자 구한 갤럭시…1분기 영업익 6.6조
- 내년 700조 예산 원점재검토…예산 전략, 새 정부로 넘긴다
- 22개월째 경상수지 흑자 오히려 부담?…4월부터 관세 직격탄?